- 영문명
- A Study on Jinsan(鎭山) of Traditional Eup(邑) Towns in Gyeongsang Province
- 발행기관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 저자명
- 최원석(Won-Seok Choe)
- 간행물 정보
- 『문화역사지리』제15권 제3호, 119~13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12.01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the dissertation. the Jinsan is discussed as a landscape in the traditional eup(邑) towns in Gyeongsang Province. The survey
of landscape in Gyeongsang the Jinsan Province ends up with the following findings.
In Gyeongsangi Province, the great parts of the traditional eup(邑) towns were located in the Jinsan, and the Jinsan lies to the north of the traditional eup towns mainly. A composition
and arrangement of histo -geographical landscapes of the eup towns
we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jinsan. The Jinsan had played two functions : the symbolic-religious mountain worship and the geomantic main mountain(主山). The bibo are manifested in the forms of artificial holy mounds, sacred groves, landscape architecture. toponym, folk play and so on.
Key words: traditional eup(邑) towns, Jinsan(鎭山), main mountain(主山), bibo(裨補)
목차
1. 머리말
2. 읍치 경관에서의 진산 요소
3. 진산의 정의와 역사적 과정
4. 진산에서 주산으로서의 기능 변화와 그 의미
5. 영남지방 진산의 분포 특징
6. 읍치의 입지 및 공간구성과 진산
7. 진산의 풍수적 상징체계와 비보
8. 맺음말
<주>
<첨부> 영남 읍치의 경관 요소와 진산 조건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