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Qualitative Inquiry on the Realities and Needs in the Support for Low-income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박지연(Park Ji Yeon) 유은연(You Eun Youn)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39권 제2호, 139~169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9.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아동을 둔 저소득층 가정의 경험, 요구, 인식 등을 심도 있게 조사하여 이러한 가정들을 위한 실제적이고 종합적인 가족지원모델을 개발하려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장애유아 및 아동을 둔 저소득층 가정의 1차 양육자 18명과 이들 가족을 위해 일하는 교육전문가 13명에 대한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질적 분석한 결과, 4개의 주제(themes)가 도출되었다:(1) 빈곤이 장애아를 둔 저소득층 가정에 미치는 영향, (2) 현재 지원체제가 가진 문제점, (3) 장애아를 둔 저소득층 가정의 요구, (4) 장애아를 둔 저소득층 가정을 위한 지원의 성패에 영향을 미칠 기타 요소들. 논의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장애아를 둔 저소득층 가정을 위한 가족지원의 나아갈 방향과 가족지원의 내용 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ough it is true that attentions have been paid to family support for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cently and that emphasis has been put on the family support that are comprehensive and family-centered, there is a lack of exemplary model about specific contents and strategies to provide family support for
low-income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practical and comprehensive family support model for low-income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rough the qualitative investigation of these families' experiences, needs, and perceptions. Eighteen primary caregiv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13 professionals who work with these families and their children were interviewed.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four themes emerged:(1) the impact of poverty on families, (2) existing issues in current system, (3) needs of the families, and (4)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success of family support efforts. Finally, the critical elements and future directions of the family support model for these familie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목차
< 요 약 >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 과
Ⅳ. 논 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