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Design Textbooks used by Technical High School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김재학(Kim Jae-Hak)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미술교육논총 제18권 1호, 381~40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6.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공업계 고교 디자인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활용의 구조적인 측면과 내용 구성 체계 분석을 통해 실제 교육 현장에서 제기되는 문제를 검토하고 이를 교육적으로 해결하며 그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공업계 6종 디자인 교과서를 분석하여 공업계 교육과정의 운영에 있어 교과서의 활용도, 각 디자인 분야별 교과서들의 내용상의 중복, 현장과 유리된 내용체계, 교과서 별 목차의 흐름과 내용의 난이도 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교과서들의 내용상의 중복이 있는 부분이 많으며 재검토 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현장과 밀착된 내용 체계 구성이 요구된다. 목차의 흐름과 난이도도 부분적으로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특히 교육과정 운영에서 교과서의 활용도 문제는 시급히 해결해야할 문제이다. 그리고 이러한 교육과정 운영 및 교과서 문제는 교육현장과의 유기적 연계를 통하여 해결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blems of six different kinds of design textbooks by analyzing the structure and contents in the design books and to search for better improvements and to present effective and systematic reform measures.
This study examined the utility, the repetition of the contents, the content systems, the flow of the table of contents and the relative difficulty of the contents by comparing the six different kinds of design textbooks.
As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among the six different kinds of design textbooks, it is found that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the design books are mostly the same.
In the case of the repetition of the contents, it needs to be re-examined the contents for students to arose more diversified sense of arts. As to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they are separated from our real educational situation. They should be fixed to cope with the changing age in lin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regions and schools. In case of the flow of the table of contents and the relative difficulty of the contents, they also should be required to be amended partially. In particular, the utility of textbooks in running curriculum is the most urgent problem to be reorganized.
Most of all, social change should be reflected in line with the professional trends in educating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in the area of design. The structural change of directio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education of design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공업계 디자인 교육과정
Ⅲ. 공업계 디자인 교과서 분석
Ⅳ. 공업계 디자인 교과서 개선 방안
Ⅴ. 결론 및 제언
【부록】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