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the Question in Learning of Art Appreciation & Criticism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류재만(Ryu Jae-Man)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미술교육논총 제18권 1호, 193~226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6.01
국문 초록
미술감상은 보고 느끼는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포스트모더니스트들에게는 미술 작품도 텍스트로 보기 때문에 미술 감상·비평은 보고 느끼는데 그칠 것이 아니라 보고 읽고 느끼는 것이 되어야 한다. 즉 보고 느끼는 감상에서 보고 읽고 해석하며 느끼는 감상으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작품을 읽는 다는 것은 작품을 하나의 텍스트로 본다는 것이고 작품을 해석해야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감상·비평학습을 통해서 학생들에게 미술 작품을 읽을 수 있는 능력을 육성해야 한다. 발문은 작품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고 호기심을 자극하는 기초가 되기 때문에 감상·비평교수-학습 과정에서 있어서 본질적인 것으로 감상.비평학습의 관건이다. 감상.비평학습에서 발문은 학습자들에게 작품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지적 호기심을 자극할 뿐만 아니라 비판적, 반성적, 합리적 미적 사고 등을 촉진할 수 있다. 또 발문이 과정 속에서 학습자들은 미적 지식의 재구성을 도와주고 미적 감수성을 자극하고 육성할 수 있다. 미술감상·비평의 관점을 기호학적 측면, 미학적 측면,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in school, appealing to a difficulty of art appreciative criticism means failing to realize the method of appreciative learning. In other words, teachers do not know the question to the application of the appreciative teaching-learning model. It is uncertain for teachers to make the question with no point of view.
How to make an epilogue is related to the point of view, so when teachers make an epilogue with no points of view, this causes the confusion. This presents the question in semiology, esthetics, social and cultural view when we learn the art appreciation. In the semiology points, the forms and contents of expression are related to the model factors and principles, and in the esthetics points, its intuition and valuation are presented. Besides, works of art background in the social and cultural points is presented.
For the question of appreciation, the model factors and principles which are related to the forms and expressions of expression in the semiology points are provided, and the first impression and esthetic judgment which are related to the esthetic intuition in the esthetic points are provided. And also, growing background of the writer and its generation's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is showed for better understanding of works of art.
To make the appreciation and criticism learning substantial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in school, there should be many studies and research works published, and applied to the field. The question in the appreciation and criticism learning, it must be open to the learners and teachers, not to monopolize, and then there can be many chances to share their ideas with all together.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미술감상·비평의 관점
Ⅲ. 미술감상·비평 학습에서 발문의 관점과 발문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