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심리과학연구소
- 저자명
- 안신호 이유갑
- 간행물 정보
- 『심리학의 연구문제』제3호, 93~11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88.10.01
국문 초록
Winner 등(1976)은 직유형태의 표현이 아동의 지각적 비유의 이해에 미치는 효과를 증명하는데 실패했다. 그러나 그들은 지각적이 아닌 비유 즉 심리적-물리적 비유, 혹은 literal한 해석과 상징적인 해석 양자가 다 가능한 비유에서는 직유의 효과가 있을 가능성을 제안했다. 본 실험에서는 두 종류의 맥락이 조작되었다. 하나는 비유를 단지 상징적 해석으로만 의미있게 만드는 것(상징만의 맥락)이고, 다른 하나는 비유를 상징적 해석이 의미있으면서 동시에 (틀린 것이기는 하지만) literal한 해석도 의미있는 것처럼 보이도록 만드는 것(Literal한 맥락)이다. 128명의 3~6학년 학생들에게 이야기를 읽도록 한 다음에 이야기속 목표단어의 의미를 쓰도록 했다. 결과들은 Literal한 맥락 하에서 직유는 비유이해를 촉진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상징적 맥락만의 조건에서 직유는 단지 3학년 학생들만의 비유이해를 촉진시켰다. 그러나 Literal한 맥락하에서 직유는 3학년에서 5학년까지의 학생들의 비유이해를 촉진시켰다. 비유를 literal하게 해석하는 오류수는 정반응수에 반비례했다. 아무 문장이나 상징적으로 해석하려는 마음갖춤새가 피험자들에게 형성되는 것을 막기 위해 본 실험에서는 떼움질 조건으로서, 단지 문자대로의 해석만이 정확한 반응인, Literal Only 맥락이 삽입되었다. 대부분의 아동들은 이 조건에서도 비유가 아닌 것을 상징적으로 해석했는데 이 현상은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서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상징적 해석의 이러한 경향은 이야기 이해에 대한 앞으로의 연구에 중요하리라 여겨진다. 왜냐하면 우리는, 개개의 문장은 각기 문자대로의 해석만 가능하나, 이야기 전체 속에서는 각 문장이 상징적 의미를 갖는 경우를 문학작품에서 많이 접하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목차
요약
Ⅰ. 방법
Ⅱ. 결과 및 해석
Ⅲ.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