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Gender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Quality of life of Environment - oriented farmer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가족학회
- 저자명
- 허미영(Mee-Young Huh)
- 간행물 정보
-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17집 제2호, 155~187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8.01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친환경농업인의 농촌 생활의 현실과 삶의 질을 파악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밝혀내서 환경농업을 지속시키고 확산시키기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데 있다. 본 연구결과, 환경농가 여성은 남성과 거의 같은 시간동안 농업노동을 하고 있으며 이에 더하여 가사노동을 하였다. 그렇지만 그에 따른 경제적 보상 및 사회적 지위가 확보되지 못하였고, 건강문제 또한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친환경농업인들은 삶의 질을 보통 정도로 인식하고 있으며, 지역사회의 참여와 생활만족요인을 제외하고 특히 경제여건, 교육여건, 근ㆍ골격계 건강요인에서 낮게 평가하였다. 전체적으로 삶의 질에 영향을 준 요인은 ‘일의 보상의 적절성’, ‘현재의 건강상태’, ‘부부의 대화량’, ‘농번기의 노동시간’ 등이었다.
영문 초록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quality of life in the rural society which environmentally-oriented farmer experience. Moreover, this study examines which factors contribute to sustain and diffuse environmentally-oriented fanning(EOF). Women of EOF were under severe labor burden and health problem such as pains in the muscle skeletal system, especially back pain, finger joint and knee joint pain.
Women of EOF showed lower level of quality of life than man of EOF. The quality of life of women of EOF, especially economic condition, education condition and heath problem factors were under the average except for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and satisfaction of everyday life. Rewardness of work, health status, quantity of communication at home and labor time were significant factors in determining quality of life among environmentally-oriented farmer.
목차
국문초록
Ⅰ.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Ⅱ. 환경농업에서의 성별요소와 삶의 질
Ⅲ. 연구 대상과 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부록 1> 회귀분석에 사용된 변수간 상관 값과 유의도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