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분리불안 아동의 인지행동놀이치료 사례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Case Study on the Cognitive Behavioral Play Therapy of Children with Separation Anxiety
- 발행기관
- 한국인지행동치료상담학회
- 저자명
- 홍채영
- 간행물 정보
- 『인지행동치료상담연구』제1권 제1호, 43~6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행동놀이치료(Cognitive Behavioral Play Therapy)가 아동의 분리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와 이 증상의 인지적, 정서적 및 행동적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인지행동놀이치료는 인지적 재구성, 점진적 노출 훈련, 모의 심리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구성되었다. 연구대상은 분리불안을 보이는 6세 여아이다. 연구는 M연구소에서 2018년 9월부터 2019년 1월까지 주 1회, 회기 당 40분씩 총 13회기를 진행하였고, 부모상담은 매 회기별 10분씩 13회기를 실시하였다. 연구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회기별 기술을 바탕으로 아동의 분리불안의 변화와 분리불안을 촉발하는 사고, 분리불안의 수준 및 회피행동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기가 진행됨에 따라 아동은 연구소 안에서 모와의 긍정적인 분리로 인해 분리불안이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 이러한 양상은 일상생활(어린이집, 학원, 키즈카페)에 일반화되었다. 둘째, 인지행동놀이치료가 아동의 인지적, 정서적 및 행동적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인지행동놀이치료가 아동의 분리불안 감소와 이러한 증상을 일으키는 인지적, 정서적 및 행동적 변화에 효과적이며, 분리불안 아동에게 놀이를 활용하여 인지 행동적 개입 가능성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gnitive behavioral play therapy on the reduction of separation anxiety in children and the changes in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aspects that cause these symptoms. Cognitive behavioral play therapy in this study was organized with a focus on cognitive reconstruction, gradual exposure training, and simulated psychological educa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six-year-old girl showing separation anxiety. For this study, a total of 13 sessions of therapy were held at M laboratory from September 2018 to January 2019. Each session lasted 40 minutes and was conducted once a week. Parents consultation was held for 10 minutes every session for a total of 13 session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research, the changes of separation anxiety and an accident triggering separation anxiety, level of separation anxiety, and changes in evasive behavior of the child were examined based on the descriptions during each s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he session progressed, children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separation anxiety due to positive separation with their mothers in the laboratory, and this aspect became common in daily life(the child's home, academy, indoor playground). Second, cognitive behavioral play therapy showed positive effects on the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changes of the child with separation anxie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monstrated the effectiveness of cognitive behavioral play therapy in reducing separation anxiety and changing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factors that cause separation anxiety and verified the possibility of effective cognitive behavioral interventions using play in children with separation anxiety.
목차
❚ 서 론
❚ 연구방법
❚ 인지행동놀이치료 회기별 과정
❚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인권감수성 연구동향 고찰: 2003-2019년을 중심으로
- 청소년의 주의집중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행동통제의 조절효과
- 청소년의 거부 민감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또래 애착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