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라 왕경 지역 내 고분군 발굴조사 성과와 의미
이용수 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고고학회
- 저자명
- 심현철
- 간행물 정보
- 『한국고고학전국대회 발표문』제49회, 377~380쪽, 전체 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1.07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목차
Ⅰ. 머리말
Ⅱ. 경주일원 국비지원 고분발굴조사 현황
Ⅲ. 조사성과와 의미
Ⅳ. 향후 과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고학에서 인간과 물질의 관계에 대해 새롭게 생각하다
- 제주 주정공장의 생애 연구- 사물의 전기(傳記)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 -
- 어포던스와 물질문화- 개념 검토와 지석묘 사례를 중심으로 -
- 다층적 유적형성과정에 기록된 한반도 청동기인의 삶 : 토양의 물질성을 중심으로
- 점토와의 상호작용: 가소성 천이와 기종에 따른 체화된 무문토기 제작기술
- 청동의 어포던스와 청동기
- 철의 어포던스(Affordance)와 철기
- 흙의 Affordance와 封墳墓 - 재료・기술・상징의 상호작용 -
- 구석기 유적의 후퇴적 변형과 “문화층”
- 수혈주거지의 후퇴적 과정과 폐기, 변형
- 무덤의 후퇴적 과정과 인간-물질 상호작용
- 저장 시설의 후퇴적 과정 - 수혈 유구를 중심으로 -
- Archaeology of Warfare: Methods and Approaches
- Excavating pottery: New objects for archaeological research and technological innovations for detecting information
- Tracing China’s Metallurgical Origins: A Framework for Reinterpreting Korea’s Early Metalworking
- Modeling affordance of movement freedom: a computational approach analyzing landscape experience of Middle Mumun period’s villagers
- The Production of Korean Celadon at the Banam-ri Kiln Site, Korea, Between 10th and 13th Centuries: A Scientific Investigation
- 유기잔존물 분석기술 개선 프로젝트
- 유기잔존물 토기 재현실험 시편 분석과 라이브러리 구축
- 우리나라 고고자료, 유기잔존물 분석으로 본 새로운 이야기
- 中央アジアにおける土器残存脂質分析の進展
- 비귀속 유산의 현황과 연구자료로서의 가치
- 예담고의 비귀속 유산 활용 방향
- 조사・연구기관에서 바라본 예담고의 기능과 역할
- 비귀속 유산의 관리와 활용을 위한 제도 개선 방향
- 휴대용 X-선 형광분석기(pXRF)의 효용과 한계
- 탄산염암 및 화성암으로 구성된 석조문화유산의 지구화학 분석과 산지 추적
- 함안 대산리사지 석조보살입상 석재의 기원지 규명 연구: 비파괴-휴대-현장적용 분석법 기반 정량적 접근
- XRF를 활용한 남한 지역 고구려 유적 출토 기와 분석
- 최초의 거석문화 ‘괴베클리 테페’
- 유럽 거석기념물의 종류와 연구동향
- 동남아시아와 남아시아의 거석문화 - 인도네시아와 인도 지역을 중심으로 -
- 동북아시아의 거석문화
- 디지털 고고자료의 생산과 AI화
- 고고유산의 디지털 전시 현황과 미래
- 디지털 고고유산 아카이브 및 활용
- 디지털 고고유산 아카이브 및 플랫폼 구축 국외 사례와 향후 과제
- 아제르바이잔 가발라 왕성 최근 조사 성과
- 아제르바이잔 예디테페 쿠르간 5호의 조사
- 『베트남 옥에오 문화』 번역서 소개 및 서평
- The Cultural Heritage of Angkor Borei Ruins: The Academic Conference on Mekong River Archaeology
- 발굴 문화유산에 대한 자연과학적 분석의 필요성
- 경주 황남동 120-1・2호분 유적 발굴 성과
- 경주 황남동 120-1・2호분 출토 유리의 과학적 분석연구 성과
- 경주 황남동 120-1・2호분 출토 귀금속제품의 분석 연구 성과
- 의례와 술
- 경주 황남동 120-1・2호분 출토 토기의 과학적 분석연구 성과
- 양조 및 음주 관련 고고과학 분석 시료의 고고학적 검토
- 중국 고대의 술과 儀禮
- 전분 분석으로 본 한국 선사 및 고대의 양조
- 메타게놈 분석으로 본 선사 및 고대의 양조
- 매장유산 국비지원 발굴조사의 역사와 성과
- 국비지원 발굴조사 성과로 본 제주 종달리 유적
- 신라 왕경 지역 내 고분군 발굴조사 성과와 의미
- 공주 반죽동 소규모 국비지원 발굴조사의 성과
- 국비발굴로 본 백제 사비기 구구표 목간의 특징
- 경주 갑산리 사지 발굴조사의 성과와 의의 - 명문 기와를 중심으로 -
- 소규모 국비발굴에서 드러난 예천의 신라 고분군
- 김해읍성의 축조방법과 공간구조
- 기원전 2천년기 중국 북방지역 청동기의 등장 과정: 동부류를 중심으로
- 기원전 1천년기 전반 요하평원 북부 고고문화의 성격
- 카자흐스탄 동부 사카-오손 문화 고분의 등장과 확산
- 흉노와 예맥사회:북방계 문화의 확산과 변용, 그리고 상호작용
- 돌의 ‘물질성’과 도구의 제작, 사용
- 난파선 출수유물의 후퇴적 과정 분석과 의의 - 화물목간의 분포양상을 중심으로 -
- 유기잔존물 토기 재현실험
- A Case of Studies on the Khmer Ancient Empire in “Funan Kingdom(1st-6th Century)”
- 한국 선사 및 고대 토기의 식물규소체 분석
- 국비발굴에서 찾은 신라 금속제 장신구와 의의 - 경주와 인근 지역 출토품 중심으로 -
- 소규모 국비지원 발굴조사의 성과와 의의 - 강릉 초당동 일원의 신라고분 조사사례를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