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OTT 오리지널 드라마의 특징 비교 : 국내외 OTT 플랫폼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f OTT original dramas: Focusing on domestic and foreign OTT platforms
- 발행기관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 저자명
- 김병수
- 간행물 정보
- 『영상기술연구』제43호, 55~7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emergence and rapid growth of OTT(Over The Top) platforms, which began with Netflix's entry into the Korean market in 2016, brought about many changes in the domestic content market centered on legacy media such as public broadcasters and cable channels. Various factors are cited as reasons for the rapid growth of OTT platforms, but it can be said that each OTT platform’s ‘original content’ played an important role. As the success of OTT original drama content has a direct impact on the influx of viewers, each platform is showing continued investment and interest in original drama content. Most domestic and international OTT platforms are structured to cover new content supply and production costs solely with users' subscription fees.
Therefore, efforts are being made to produce ‘original dramas’ to encourage the influx of new subscribers and to prevent existing users from continuing to use and leave. Accordingly, this study seeks to determine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between original dramas produced on domestic and foreign OTT platforms where competition is intensifying. We also want to check the correlation with box office hits on the platform. This study focused on research and analysis of the five platforms with the highest usage rate among domestic consumers (Netflix, Coupang Play, TVING, Wavve, and Disney+) among the various OTT platforms serving in Korea.
Through this study, we aim to suggest the direction that domestic drama production companies should take when planning and producing original content in the future and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및 연구가설
Ⅳ. 분석 결과
Ⅳ. 결론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 커피 프랜차이즈 기업의 캐릭터 콜라보레이션 전략 연구 - 큐렌들리 마케팅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TV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의 성공 요인 분석-대본과 그 장르를 중심으로 -
- 소통을 위한 영화의 형식적 표현 연구-영화 <증인>을 중심으로 -
- 영화 <서치>의 연출 분석-파운드 푸티지와 전통적인 장르의 융합을 중심으로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