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긍정심리학 기반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사회성,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a Positive Psychology-Based Group Play Therapy Program on Self-Efficacy, Social Skills, and Well-Being in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생애놀이치료학회
- 저자명
- 이준호 이윤주
- 간행물 정보
- 『한국생애놀이치료학회지』제8권 제2호, 1~2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positive psychology-based group play therapy program on self-efficacy, social skills, and well-being in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six students aged between 14 and 18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were capable of independent living with intermittent support and social rehabilitation through education. They voluntarily participated in a group play therapy program as part of an after-school special talent and aptitude education program at a special education school located in D city. The group play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once a week from August to December 2024, with each session lasting 80 minutes, for a total of 17 sessions. The effectiveness was verified through statistical and qualitative analyses of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positive psychology-based group play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elf-efficacy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2. The program also led to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ocial skills among the participants. 3. Furthermore, it contributed to the enhancement of their overall well-being. Notably, these effects were maintained not only in the post-test but also in the follow-up test, confirming the sustainability of the intervention's impact.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청소년 도박 실태 및 치료방법 고찰
-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과 경계선 지능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 (WHOQOL-BREF)의 개발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NEW
- 긍정심리학 기반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사회성,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 유방절제술을 경험한 여성의 여성성 회복에 대한 모래놀이치료 단일 사례연구: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 조모-손자녀 관계증진을 위한 가족모래놀이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손자녀와의 관계에 어려움을 겪는 주양육자 조모를 대상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