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참여를 통한 은퇴 노인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에 대한 경로분석

이용수  0

영문명
Path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in Retired Older Adults Through Social Participation
발행기관
대한작업치료학회
저자명
전푸름 서은혜 김주은 엄유빈 유은영
간행물 정보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33권 제2호, 83~10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은퇴 노인의 성공적인 노화에 중요한 요소인 사회참여 정도가 건강상태, 일상생활활동, 우울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검증하여 사회참여와 삶의 질 사이의 경로를 확인하고자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에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2022년 제9차 고령화연구패널조사(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은퇴 노인 646명의 건강상태, 일상생활활동, 우울, 사회참여, 삶의 만족도를 추출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주요 변인 간 관계와 사회참여의 매개효과 확인을위하여 경로모형을 수립하고, 각 경로의 직접효과와 간접효과 및 총효과를 산출하였다. 기술통계와 상관관계분석에는 SAS 9.4를, 직간접효과와 총효과 분석에는 Mplus 8.11를 사용하였다. 결과 : 은퇴 노인의 평균 연령은 75.98세 였으며, 남성이 63.86%였다. 경로분석 결과, 사회참여의 매개효과는건강상태와 삶의 만족도 간 관계에서 0.859 (95% CI = [0.11, 0.60], p = < 0.001)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일상생활활동과의 효과값이 0.536 (95% CI = [0.30, 0.85], p = < 0.001)로 그 뒤를 이었으며, 우울과는–0.485 (95% CI = [-0.75, -0.26], p = < 0.001)의 간접효과가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은퇴 노인의 사회참여가건강상태, 일상생활활동, 우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은퇴 노인의 건강상태, 일상생활활동, 우울이 사회참여를 통해 삶의 질을 효과적으로극대화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참여의 역할을 입증하여 은퇴 노인의 삶의질 향상을 위한 실천적 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성공적 노화를 통한삶의 질 향상을 강조하는 한국의 노인 복지 정책 및 서비스에 대한 기반으로도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whether social participa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health,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and identified its pathway to enhance quality of life. Methods: A secondary analysis of the 9th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was conducted on 646 retired older adults. A path model was used to assess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and estimate the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s. We used SAS 9.4 and Mplus 8.11 for analysis. Results: Participants had an average age of 75.98 years, and 63.86% were male. Social participation had the strongest mediating effect between health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β = 0.859, 95% confidence interval [CI; 0.11, 0.60], p < 0.001). The indirect effects were 0.536 for ADL (95% CI [0.30, 0.85], p < 0.001) and -0.485 for depression (95% CI [-0.75, -0.26], p < 0.001). Thus, social participa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impact of key variables.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health status, ADL, and depression of retired older adults can effectively maximize life satisfaction through social participation.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developing interventions to enhance retired seniors' quality of life through social participation and may support Korean welfare policies promoting successful aging among older adul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IV.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푸름,서은혜,김주은,엄유빈,유은영. (2025).사회참여를 통한 은퇴 노인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에 대한 경로분석. 대한작업치료학회지, 33 (2), 83-102

MLA

전푸름,서은혜,김주은,엄유빈,유은영. "사회참여를 통한 은퇴 노인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에 대한 경로분석." 대한작업치료학회지, 33.2(2025): 83-1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