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증권시장 상장정책에 관한 고찰
이용수 13
- 영문명
- A Review of Listing Policies on the Stock Exchanges
- 발행기관
- 은행법학회
- 저자명
- 성희활
- 간행물 정보
- 『은행법연구』제18권 제1호, 175~20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증권시장 상장정책은 기업 활동에 큰 영향을 미치는 공공적 성격이 강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증권시장별 상장정책의 차등화 필요성을 분석하고, 증권시장의 구조적 개편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상장제도는 기업의 자금조달과 투자자보호 및 시장건정성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 고도의 정책적 판단이 필요한 것으로서, 진입과 퇴출 기준의 설정 방식에 따라 기업의 성장성과 시장의 안정성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코스피, 코스닥, 코넥스, 장외시장(K-OTC)별 각각의 기능과 역할 및 상호 연계성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제안하였다.
특히, 혁신적 시장(쉬운 진입․쉬운 퇴출), 흐린물 시장(쉬운 진입․어려운 퇴출), 보수적 시장(어려운 진입․쉬운 퇴출), 고인물 시장(어려운 진입․어려운 퇴출)의 네 가지 유형으로 시장을 구분하여 분석하고, 주요국 증권시장의 사례를 비교․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시장별 특성에 맞춘 차별화된 상장 및 퇴출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며, 기업의 성장 단계에 따라 원활한 시장 이전과 투자자보호를 동시에 고려한 개선방안이 요구됨을 강조하였다.
예를 들어, 코스닥과 같은 혁신 시장에서는 신속한 퇴출이 꼭 정답은 아니라는 점과 반대로 코스피와 같은 보수적 시장에서는 시장건전성 확보 차원에서 엄격한 진입과 신속한 퇴출이 중요하다는 점 등이다. 또한, 코넥스시장의 모험자본시장으로서의 성격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고 장외시장(K-OTC)과의 연계를 통해 상장폐지 기업의 투자자보호 및 재진입 기회를 조정하는 보완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 한국 증권시장의 지속 가능성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시장별 차별화된 상장정책과 유기적인 시장 연계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수적임을 제안하며, 상장제도의 개선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ublic nature of stock exchange listing policies and the necessity of differentiated market structures, proposing a structural reform strategy for the Korean stock market. The listing system is a key policy mechanism that must balance corporate financing and investor protection, with entry and exit criteria significantly influencing market stability and growth potential. This study categorizes the Korean stock market into KOSPI, KOSDAQ, KONEX, and over-the-counter (K-OTC) markets and suggests policy directions to clarify the function and role of each market.
In particular, the study classifies market structures into four types—Innovative Market (low entry barrier, easy exit), Murky Market (low entry barrier, difficult exit), Conservative Market (high entry barrier, easy exit), and Stagnant Market (high entry barrier, difficult exit)—and compares these classifications with international stock markets. Based on this analysis, the study highlights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differentiated listing and delisting standards tailored to each market’s characteristics while ensuring smooth market transitions and investor protection throughout a company’s growth stages.
For example, in innovation-driven markets such as KOSDAQ, immediate delisting may not always be the optimal approach, whereas in conservative markets such as KOSPI, maintaining market stability requires stricter entry standards and prompt delisting measures. Additionally, the study emphasizes the need to enhance KONEX’s role as a risk capital market and to introduce complementary measures that coordinate with over-the-counter markets such as K-OTC to protect investors and manage reintegration opportunities for delisted companies.
This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a refined and market-specific approach to listing policies to enhance the sustainability and global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stock market.
Furthermore, it provides key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listing system and fostering an interconnected and efficient market structure.
목차
Ⅰ. 서 론
Ⅱ. IPO와 상장제도 개요
1. IPO 및 신규상장 현황
2. 상장제도
3. 상장폐지제도
Ⅲ. 상장정책에 따른 시장의 유형 분류와 주요국 시장에 대한 평가
1. 상장정책에 따른 시장 유형 분류
2. 주요국 시장에 대한 유형 평가
3. 시사점
Ⅳ. 최근 금융당국의 상장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평가와 보완방안
1. 2025년 금융당국의 상장제도 개선방안 개요
2. 금융당국의 개선방안 평가와 보완방안
Ⅴ. 바람직한 상장정책 방향과 구체적 개선방안
1. 바람직한 상장정책의 방향성
2. 구체적 개선방안
Ⅵ.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취약 금융소비자를 위한 개인채무자보호법 검토
- 예금토큰의 발행 및 유통과 법적 쟁점
- 금융감독기구의 독립성과 조직 형식: ‘무자본 특수법인’을 중심으로
- 금융성장론으로의 전환을 위한 법제 개혁 과제
- 증권시장 상장정책에 관한 고찰
- Research on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Holders of Perpetual Bonds of Commercial Banks under the Company Law of China
- 디지털자산 거래의 물권적 구성에 관한 연구: UNIDROIT 디지털자산원칙과 미국 UCC 제12편을 소재로
- 전자증권법상 증권담보의 효력과 담보권자의 보호: 계좌질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