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을 위한 한국 여가 경험과 취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용수 30
- 영문명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Leisure Experiences and Tastes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여가문화학회
- 저자명
- 곽민정 김영순
- 간행물 정보
- 『여가학연구』제23권 제1호, 1~2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여가 경험과 취향을 탐색하고, 이들이 한국 사회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여가 활동이 어떤 기능을 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에 체류 중인 중국인 유학생 4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중심 주제 분석 기법을 통해 여가 경험과 취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여가 경험은 유학생들의 문화적응과 정서적 안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여가 취향은 개인적 성향, 사회적 관계, 경제적 여건, 지역 자원 접근성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여가 활동과 취향은 유학생들의 심리적 안정과 사회적 유대감 형성에 긍정적인 기능을 한다. 본 연구는 유학생들이 한국에서 원활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맞춤형 여가 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하며, 여가 활동이 유학생들의 삶의 질 향상에 필수적인 요소임을 강조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n exploratory analysis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leisure experiences and preferences in Korea, and to examine the impact of leisure activities on their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residing in Korea, and their leisure experiences and preferences were analyzed using thematic analysis. The findings reveal that leisure experience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students' cultural adaptation and emotional stability, while leisure preferences varied depending on individual dispositions, social relationships, economic conditions, and access to local resources. These leisure activities and preferences positively influenced the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formation of social bonds. This study suggests the development of tailored leisure programs to facilitate the smooth adapta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emphasizing that leisure activities are essential for improving their quality of lif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