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매복된 상악 좌측 견치와 전치부 과개교합을 동반한 골격성 II급 부정교합의 발치 치험례
이용수 0
- 영문명
- Extraction treatment of a skeletal Class II malocclusion patient with anterior deep bite and impacted maxillary left canine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두개안면기형연구소
- 저자명
- 정석진 장우원 황순신 김경호
- 간행물 정보
- 『연세임상교정』제25권 제2호, 117~13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견치의 매복은 상하악 제3대구치 다음으로 흔하게 일어나며 특히 하악보다는 상악에서, 순측보다는 구개측에서 호발한다. 견치 매복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영구 견치의 치배 위치 이상에 의해 적절한 맹출 경로를 확보하지 못해 유견치가 만기 잔존되어 있는 경우 유견치의 조기 발거 후 영구 견치의 교정적 견인을 시도할 수 있다. 그러나 교정적, 치주적, 그리고 사회경제적인 요인 등에 의해 부득이하게 매복된 영구 견치의 발거가 필요한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 제1소구치를 이용하여 임상적, 심미적 그리고 기능적으로 적절하게 견치를 대체해야 한다. 전치부 과개교합의 유병률은 연구에 따라 11.8~36.7%로 보고되며 치료는 과개교합의 발생 원인에 따라 다양한 치료 옵션이 있다. 기준평면에 대한 상악 전치의 수직적 위치와 하악의 curve of Spee, 환자의 안모 형태, 상악 전치 노출도 및 gingival display 등을 고려하여 치성적인 원인에 의한 과개교합으로 판단된다면 임상가는 치료 전 상하악 전치의 압하량과 구치의 정출량을 적절히 결정해야 한다. 본 증례에서는 상악 좌측 견치의 매복과 전치부 과개교합을 동반한 단안모 경향의 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상악 전치의 압하와 함께 상악 우측 제1소구치와 상악 좌측 견치를 발치하였음에도 성공적인 과개교합 개선을 함께 달성하였기에 이를 소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Impaction of a permanent canine is the most common form of tooth impaction excluding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third molars. It occurs more in the maxilla than in the mandible and is frequently observed in the palatal side than the labial side.1 If the deciduous canine is over-retained, often with a long and unresorbed root due to a malposition of tooth germ, clinicians could attempt orthodontic traction of the impacted maxillary canine after early extraction of the deciduous canine. However, there are cases in which permanent canines are inevitably removed due to various orthodontic, periodontal, and socioeconomic factors. In these cases, the maxillary first premolar should be used to replace the maxillary canine in a esthetic and functional manner. The prevalence of anterior deep bites is reported to be 11.8% to 36.7%, and there are several treatment options depending on the etiology. If the anterior deep bite was caused by dental issues such as vertical position of upper incisors depending on the reference plane (Horizontal plane; Sella-Nasion plane to 7°), a large curve of Spee of the mandible, maxillary incisor exposure and the gingival display, clinicians should determine the appropriate amount of intrusion needed for the incisors and extrusion of molars before treatment.
목차
서론
증례
요약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