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학력 전문직 기혼 여성의 일: 그 분투와 의미에 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이용수  4

영문명
Married Professional Women and their Work: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on their Struggles and Meaning-Making
발행기관
한국교육인류학회
저자명
양혜원 박소정 박윤조
간행물 정보
『교육인류학연구』제23권 제4호, 31~62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협력적 자문화기술지는 고학력 전문직 기혼 여성의 일의 의미에 관한 연구이다. 2000년대로 들어서며 여성의 일과 돌봄의 사회화 그리고 일-가정 양립 논의가 확대되면서 여러 정책이 시행되었다. 그러나 그 실효성이 낮아 일부 연구에서는 여전히 견고한 성별분업 이데올로기의 문제를 지적하고 있다. 이처럼 교착 상태에 빠진 듯한 여성과 일을 둘러싼 현실을 보며 대학의 교원이자 동시에 미술치료사, 미술사가, 번역가/저자라는 전문직을 가진 세 명의 연구자는 일하는 기혼 여성이 안고 있는 문제를 다른 각도에서 접근하기 위해 협력적 자문화기술지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세 명의 연구자는 네 가지 공통된 경험을 하였는데, 모두가 학부 전공과는 다른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으면서 전문성을 쌓았고, 자신의 직업 안에서 성별 분리 혹은 성별 직무 분리를 경험하였으며, 일-가정 양립에서 상당한 고충을 겪었고, 그런데도 저항과 분리보다는 상생과 통합을 지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고학력 전문직 여성들이 제 일을 찾아가는 과정과 자기 일에 부여하는 의미가 어떻게 갈등을 넘어 통합을 지향하게 하는지를 보여주었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a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on the meaning of work for professional married women with PhD degrees. Studies on women and work abound, and since the 2000s, discussions on socialization of care and work-family compatibility took the center stage leading to various policies. However, its efficiency has been questioned leading to some studies pointing to the tenacity of the ideology of gender division of labor. Thus, three researchers of this study worked on this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in order to take a different approach to the study of women and work. The three researchers of this study all work in academia but have professional backgrounds as art therapist, art historian, and translator/author. The findings show that all three changed their major in their career building, have experienced gender segregation or gender division of labor in their profession, have struggled with work-family compatibility, and finally, despite such experiences all three embraced an attitude of integration rather than resistanc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shows how the journey toward meaningful work can work toward conflict resolution and integration.

영문 초록

목차

1. 들어가며
2. 연구 배경 및 의의
3. 연구 방법
4. 우리의 일 이야기: 그 분투와 의미에 대하여
5. 나오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혜원,박소정,박윤조. (2020).고학력 전문직 기혼 여성의 일: 그 분투와 의미에 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교육인류학연구, 23 (4), 31-62

MLA

양혜원,박소정,박윤조. "고학력 전문직 기혼 여성의 일: 그 분투와 의미에 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교육인류학연구, 23.4(2020): 31-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