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보드게임의 유아 수학 교육 활용 연구
이용수 135
- 영문명
- Research on the use of board games in early childhood math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 저자명
- 이경돈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미디어연구』제23권 제4호, 111~13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보드게임의 유아 수학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유아기 경험해야 하는 수학 교과의 세부교육내용을 정리하고, 이를 근거로 보드게임을 분석하였다. 유아의 발달적 특성에 따른 수준과 내용, 수학 교육 가능성을 분석하여 보드게임을 2차에 걸쳐 선정하였으며, 전문가 집단의 검증을 통해 최종 16종의 보드게임을 선정하였다. Hatch (2002)의 해석적 분석 절차에 따라 데이터를 분석하여 유아 수학 교과의 세부교육내용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였으며, 현장에서의 실행 가능성을 위해 만 5세 유아와 선정된 보드게임을 실시 및 진행 과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아 수학 교육의 세부교육내용을 목록화하였으며, 유아 수학교육에 적합한 보드게임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유아와 직접 실행해 봄으로써 현장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유아 수학교육을 위한 보드게임을 규명하였으며, 유아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보드게임 활용안을 제시함으로써 효과적인 수학 교과 활동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potential use of board games in early childhood math education by organizing the detailed educational content of the math curriculum that young children should experience. Levels, content, and educational potential of mathematics were reviewed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and a final selection of 16 types was made based on verification by a group of experts.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Hatch's (2002) interpretive analysis procedure to understand the relevance to the detailed educational content of early childhood math education. To assess practical applicability, the selected board games were implemented and the process was analyzed with 5-year-old children. As a result, the detailed educational content for early childhood math education was cataloged, and board games suitable for early math education were organized. Furthermore, by directly implementing these games with children, the feasibility in real-world settings was confirmed. Therefore, this study identifies board games for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and proposes effective mathematics curriculum activities by suggesting practical applications of board gam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 STEAM 교육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디지털을 연계한 예술경험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보드게임의 유아 수학 교육 활용 연구
- 유아 디지털 윤리 교육내용 구성 방안 탐색
- 영유아교사의 디지털놀이지원역량 잠재유형 및 예측요인
- 유아 컴퓨터 상호작용(CCI)과 대화형 AI에 대한 교육적 고찰
- 「2019 개정 누리과정」놀이이해자료에 제시된 놀이 분석과 놀이 연속성 개념에 근거한 제언
- 스토리텔링과 연계한 수학 놀이 경험이 유아의 수학능력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 영아반 교사의 메이커 디지털 기술인 3D 프린터 활용 놀이지원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유아의 사회정서발달 검사 도구 타당화
- 예비유아교사의 그릿, 메타인지 전략이 디지털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 놀이 자료를 고민하는 어린이집 교사의 학습공동체 참여 경험
- 빈곤가정 부모의 미디어 교육 경험과 자녀의 미디어 이용에 대한 부모 중재에 관한 연구
- 5세 누리반 유아의 코딩로봇 놀이에 나타난 수학적 경험
- 예비유아교사의 인공지능 윤리에 대한 인식 및 교육 요구도 분석
- 태블릿 PC를 활용한 유아의 쓰기 경험 탐색
- 유아교사의 AI 활용 인식과 현황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 유아의 성평등 그림책 읽기에서 나타난 젠더에 대한 이해 탐색
- 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과 테크노 대처가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경계선급 지적 기능 고등학생의 진로 및 진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