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목 통증이 있는 산업 노동자와 목 통증이 없는 산업 노동자 간의 목 움직임 머리 목 , - 운동 감각 비교
이용수 10
- 영문명
- Comparison of Cervical Mobility, Cervicocephalic Kinesthetic Sensitivity between Industrial Workers with and without Neck Pain
- 발행기관
- 한국임상움직임치료학회
- 저자명
- 장예은 김미현 안덕현 오재섭
- 간행물 정보
- 『한국임상움직임치료학회지』제4권 제2호, 37~47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Background: Neck-related diseases are common in various occupational groups due to risk factors such as arm posture. Neck pain decreases the range of motion (ROM) of the cervical spine and alters neck proprioception, resulting in an increase in repositioning errors.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ROM of the entire cervical spine, the upper and lower cervical segments, and the repositioning errors during sagittal movement between industrial workers with and without neck pain.
Methods: This study involved 17 industrial workers with neck pain and 17 healthy industrial workers. The whole ROM and repositioning errors in the sagittal plane were measured using the Xsens DOT, and the ROM of the upper and lower cervical segments during sagittal movement was analyzed with the Kinovea program. An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compare differences between the ROM of the cervical spine and repositioning error during sagittal movement between groups.
Result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neck flexion and extension angles of the neck pain group were lower (p < 0.05). The lower cervical flexion angl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neck pain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p < 0.05). Both the upper and lower cervical extension angl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neck pain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p < 0.05). The repositioning error in both the flexion and extension directions was higher in the neck pain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p < 0.05).
Conclusions: Neck pain affects upper and lower cervical ROM differently. It also affects neck proprioception. Therefore, to optimally restore neck function in patients with neck pain and to plan an intervention that is suitable for each patient's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upper and lower segments of the neck should be measured separately, and proprioception should be quantitatively assessed.
영문 초록
목차
Introduction
Methods
Results
Discussion
Conclusion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추나요법과 운동이 허리원반탈출이 있는 노인환자의 시공간적 보행 변수와 하지 근력에 미치는 영향
- 목 통증이 있는 산업 노동자와 목 통증이 없는 산업 노동자 간의 목 움직임 머리 목 , - 운동 감각 비교
- 하이디엠을 이용한 중재적 초음파 치료가 건강한 여성의 턱 밑과 목 부위의 탄력 그리고 윤곽 개선 효과에 미치는 영향
- 아래팔 뒤침 제한이 있는 사람에게 마사지를 결합한 원엎침근 스트레칭이 원엎침 근의 뻣뻣함과 아래팔 뒤침 각도에 미치는 영향
- 골반 압박벨트가 엉치엉덩관절 기능부전을 가진 대상자들의 볼기근의 근력과 시간적 공간적 보행 매개변수에 미치는 즉각적인 효과
- 압력 바이오피드백 장치를 사용한 골반바닥근 수축이 한 다리 서기 동안 엉덩이 폄근 및 몸통 안정화 근육 패턴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