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Dependence on Social Networking Services on a Healthy Lifestyle: Mediating Effect of Social Networks
이용수 25
- 영문명
- 발행기관
-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안현서 김인혜 윤소현 박혜연
- 간행물 정보
- 『재활치료과학』제13권 제3호, 23~3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bjective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network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dependence and healthy lifestyle among university students.
Methods : Data from 374 university students were collected via online surveys. Sociodemographic data, SNS dependence, social networks, and healthy lifestyle were assessed. Mediation analysis using bootstrapping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network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dependence and healthy lifestyle.
Results : A total of 374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average age of the participants was 21.8 years (standard deviation = 2.1), and 70.3% were females. Mediation analysis revealed that SNS dependence had a direct effect on healthy lifestyle (β = -.078, standard error [SE] = .052, p = .128), whic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rect effect was observed through social networks (β = -.052, SE = .020, p = .011). The total effect of SNS dependence on a healthy lifestyle was significant (β = -.130, SE = .053, p = .014).
Conclusion : Social networks play a critical role in promoting a healthy lifestyle. Health professionals should prioritize interventions to address SNS dependence and leverage social networks to encourage healthier behaviors.
영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 의존도와 건강한 라이프스타일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망의 매개효과를 조사하였다.
연구방법 : 374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인구통계학적 데이터, SNS 의존도, 사회적 관계망,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평가하였다. 부트스트래핑을 사용한 매개분석을 통해 SNS 의존도와 건강한 라이프스타일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망의 매개효과를 조사하였다.
결과 :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1.8세(standard deviation = 2.1)였으며, 70.3%가 여성이었다. 매개분석 결과, SNS 의존도의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직접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β = -.078, standard error [SE] = .052, p = .128). 그러나, 사회적 관계망을 통한 간접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β = -.052, SE = .020, p = .011). SNS 의존도가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에 미치는 총 효과는 유의미했다(β = -.130, SE = .053, p = .014).
결론 : 대학생의 사회적 관계망은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건강 전문가들은 SNS 의존을 해결하고 사회적 관계망을 활용하여 더 건강한 행동을 장려하는 개입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목차
Ⅰ. Introduction
II. Methods
III. Results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심장 이식 수술 환자의 연하장애 재활치료: 단일 사례 연구
- 아동⋅청소년 자살고위험군 자살예방평가 및 프로그램
- Mediating Role of Social Network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Online Social Networking
-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Dependence on Social Networking Services on a Healthy Lifestyle: Mediating Effect of Social Networks
- 한국 작업치료사의 평가도구 사용 동향: 성인 및 노인 분야를 중심으로
-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연하장애 유병률과 교육 요구도 조사: 강원특별자치도 춘천 지역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