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메타버스를 이용한 상담실습 효과성 검증

이용수  218

영문명
Metaverse Counseling Practicum: An Effectiveness Study
발행기관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저자명
허묘연
간행물 정보
『미래사회』제15권 제2호, 57~69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팬데믹 기간 동안 다양한 기술과 방법이 개발되어 온라인 수업의 효율성과 효과를 경험할 수 있게 되었고 이후에도 계속해서 교육에 온라인 방식을 적용하고 활용하는 것에 대한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 방식이 단순한 강의형 수업뿐만 아니라 개인 간의 상호작용이 매우 중요한 상담실습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상담실습은 자기이해를 위한 개인 및 집단상담, 특강, 그룹스터디, 슈퍼비전으로 구성되었다. 참여자에는 심리학과 학부 4학년생이 포함되었으며, 이들은 전통적인 대면 방식과 메타버스 공간에서의 비대면 방식의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 메타버스 심리상담센터는 개더타운 플랫폼을 활용하여 개발되었으며, 물리적 심리상담센터를 그대로 구현하도록 설계된 공간이었으며, 여기에서 전통적인 대면실습과 동일한 내용의 상담실습을 실시하였다. 메타버스 공간에서 참가자들의 동의하에 캐릭터나 아바타를 통한 소통이 아닌 개인의 이미지를 사용한 줌 형식의 화상회의를 통해 소통하였다. 연구 결과, 두 그룹 모두 상담실습을 전반적으로 매우 만족스럽고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하였으며, 그룹 간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연구의 시사점은 메타버스 공간을 활용한 비대면 방식이 상담현장 및 현장실습에서도 성공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비대면 방식을 사용하여 비용 면에서 효율적인 상담 서비스 및 교육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애가 있거나 격오지에 거주하는 내담자들이 보다 쉽게 상담장면에 접근할 수 있는 방식으로서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Various technologies and methods were developed and made available for online class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enabling individuals to experience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online classes. Even in the post-pandemic era, the application and utilization of online education methods persists, given that it is the path forward. This study examined whether online methods can be applied effectively to simple lecture-type classes and counseling practicums in which interactions between individuals are very important. This study’s counseling practicum included individual and group counseling for self-understanding, special lectures, group studies, and supervision. The sample comprised senior- year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psychology, who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raditional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methods in a metaverse space that was developed to implement the counseling practicum using the same strategies as the face-to-face group. The Metaverse Psychological Counseling Center was developed using the Gather Town platform and was designed to simulate a physical psychological counseling center. In the Metaverse space, the participants consented to communicate via video conferencing in a Zoom format rather than communicating through a character or avatar. The results indicated that both groups evaluated the counseling practicums as satisfactory and highly effective,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were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non-face-to-face methods using metaverse spaces can be used effectively, even in counseling settings and field practicums. Furthermore, this study offers insights into the possibilities of providing cost-effective counseling services and education using non-face-to-face methods, as well as making them more accessible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or those living in remote area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묘연. (2024).메타버스를 이용한 상담실습 효과성 검증. 미래사회, 15 (2), 57-69

MLA

허묘연. "메타버스를 이용한 상담실습 효과성 검증." 미래사회, 15.2(2024): 57-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