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물리치료학과 전공수업에 적용한 3L-복합학습설계의 분석
이용수 23
-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3L-Complex Learning Design in Physical Therapy Major Classes
- 발행기관
- 한국임상움직임치료학회
- 저자명
- 유원규
- 간행물 정보
- 『한국임상움직임치료학회지』제4권 제1호, 11~1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learning methods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education in physical therapy, which is a health field.
Objectives It was intended to propose the effect of the class design applied through the results of subject achievement, class evaluation, and class satisfaction evaluation for the application of the 3L-learning design.
Methods In this study, self-directed learning (SL), pre-learning & problem-based learning (PBL), and subgroup learning (SL) methods were complexly mounted and applied to instructional design.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subject achievement, class evaluation, and class satisfaction evaluation after applying the 3L complex instructional design, the main score of the evaluation results in the area of understanding and convergence ability and inquiry and application ability all showed an achievement rate of more than 90%. In the class evaluation, satisfaction was 4.80 or higher in the areas of class plan use, interest and curiosity induction, teaching method, fairness of task evaluation, and class difficulty. In addition, in the class satisfaction evaluation, satisfaction was 4.9 or higher in the quality of the class, feedback with instructors, question and discussion environment, video content use, and suitability of each team's task.
Conclusions The 3L complex class design will help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therapy in the health field to induce self-directed thinking and learning, thereby helping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subjects.
영문 초록
목차
Introduction
Methods
Results
Discussion
Conclusion
Acknowledgment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치테이핑이 유연성 평발을 가진 대상자의 Y-Balance Test와 무릎과 발목의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
- 압력 바이오 피드백을 이용한 골반 바닥근 수축 훈련이 엎드려 엉덩관절 폄 시 엉덩관절과 몸통 근육 근활성도와 골반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
- 물리치료학과 전공수업에 적용한 3L-복합학습설계의 분석
- Will Craniocervical Flexion Exercise with Pressure Biofeedback Unit Actually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Deep Cervical Flexor?
- 스쿼트 운동 시 탄력밴드를 이용한 상지 저항 방향 변화가 하지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팔 들어올리기 운동 시 압력 바이오피드백 사용 유무에 따른 위등세모근과 아래등 세모근의 근활성도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