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옥외 광고에 대한 언론 보도 프레임 분석 - 경향신문, 동아일보, 한국일보의 보도를 중심으로
이용수 8
- 영문명
- A Study on A Study on News Frame of Outdoor Advertising
- 발행기관
- 한국OOH광고학회
- 저자명
- 염성원 이상휘 도형래
- 간행물 정보
- 『OOH광고학연구』제8권 제3호, 107~13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옥외 광고에 대한 이미지가 일반 공중에게 어떻게 전달되고 인식되는가를 밝히기 위해 옥외광고에 대한 뉴스 프레임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은 2010년 6월 1일부터 2011년 6월 30일까지 1년 동안 경향신문, 동아일보, 한국일보 등 3개의 신문을 대상으로 한국언론진흥재단 카인즈(KINDS) 검색 시스템을 통해 옥외 광고 유형별 검색어를 질의해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하루 평균 0.23건의 옥외 광고 기사가 분석대상에서 보도 되었으며, 옥외 광고 관련 기사의 취재원은 지자체와 중앙정부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또한 옥외 광고 관련 기사 가운데 27.5%만이 중심주제로 옥외 광고를 보도했으며, 나머지는 주변부의 소품으로 옥외 광고를 다루었다. 옥외 광고의 내용적 프레임에 있어서도 옥외 광고를 관리나 개선되어야할 대상으로 보도하는 프레임이 전체 57.5%를 차지하며 과반을 넘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언론에 보도되는 옥외 광고의 이미지 역시 긍정적 이미지(11.4%)보다 부정적 이미지를 부각 시키는 보도(31.8%)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주로 전통적인 옥외 광고유형(간판, 현수막 등)과 달리 최근 새롭게 등장한 전광판, 지하철 광고 등에서는 부정적 보도 보다 긍정적 이미지로 보도되는 경우가 많았다는 점에서 인식 개선의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다고 분석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news frame of outdoor advertising for exploring how outdoor advertising outcome delivered and perceived to public. The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KINDS system used the key word of outdoor advertising. For this study three nationwide newspapers such as Kyunghyang Daily, Donga Daily, Hankook Daily for a year was used.
The result is following. Firstly, First, 0.23 articles on outdoor advertising was reported in analyzed media on average daily, and the news source of articles was most frequent local governments and the central governments.
Of the whole articles on outdoor advertising was reported for a year, only 27.5% actually become main topic of the article, the rest of articles was minor things. the articles with image of be regulated are reported 40% more likely than those with a promising industry. The outdoor advertising were reported on more negative images(31.8%) than positive image(11.4percent).
But the recent introduction of a new display system and a subway media were reported positive image, so in the near future the outdoor advertising was anticipateed the improvement of cognition for changing positive image.
목차
Ⅰ. 서론
Ⅱ. 뉴스 프레임 개념과 선행 연구
Ⅲ. 옥외 광고의 정의와 사회적 인식
Ⅳ. 연구문제 및 방법
Ⅴ. 분석 결과
Ⅵ. 결론 및 한계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