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간판개선사업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The Study on Directions for development of Signboard Improvement Projects
발행기관
한국OOH광고학회
저자명
박진표
간행물 정보
『OOH광고학연구』제7권 제2호, 79~10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6.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급속한 도시화에 따른 상업의 발달로 난립하게 된 옥외광고물은 환경과 도시경관에 대한 관심의 증대로 인하여 점점 더 이슈가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각 지자체는 간판개선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하여 간판개선사업을 여러 측면으로 조명해 보고, 사례연구로서 간판개선사업이 완료된 서울특별시 강동구의 천호 문구․완구거리 및 천호대로에서 광고주 및 일반시민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간판개선사업에 관하여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 옥외광고물 인식, 간판개선사업 참여 및 주민협의체 대표성인식에 따라서 간판개선사업에 대한 만족과 향후 영향 예측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광고주 및 소비자의 옥외광고물 인식 수준을 높여 간판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키고, 간판개선사업에 대한 광고주들의 참여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필요하며, 주민협의체의 대표성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향후 사업이 시행되어하고, 현재의 정량적이고 성과지향적인 평가방식을 지양하고, 광고주 및 최종 사용자인 일반시민들의 관점을 포함한 다양한 방식으로 간판개선사업이 평가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Outdoor billboards and signs have grown in number throughout the course of rapid urban and economic development in Korea. These days, however, with the growing concern about the environment, its impact on the urban landscape is becoming a serious issue. To solve such problems, each local government is conducting projects to improve signboards. In this study, we observed different aspects of signboard improvement projects through relevant literatures. It also included some case studies in Kangdong-gu, Seoul, where the local government has already completed a series of signboard improvement projects. The case studies involve surveys on how citizens and advertisers view the projec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cognition of signboards, residents' participation in the project and representativeness of resident consultative group influence on satisfaction and its impacts in the future. The results also provided several suggestions. First, the level of signboard recognition from advertisers and consumers needs to be reinforced. Second, the participation of advertisers in signboard improvement projects is important for the satisfaction on the results of project. Third, the representativeness of residents' consultative group has to be guaranteed in future projects. Finally, the projects need to be evaluated by advertisers and consumer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논의
3.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진표. (2010).간판개선사업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OOH광고학연구, 7 (2), 79-105

MLA

박진표. "간판개선사업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OOH광고학연구, 7.2(2010): 79-1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