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모사의료폐기물 성분분석을 통한 COVID-19 이후의 의료폐기물 발열량 예측 및 적정 소각방안 고찰
이용수 20
- 영문명
- Prediction of Calorific Value of Simulated Medical Waste after COVID-19 Through Component Analysis and Consideration of Appropriate Incineration Plan
- 발행기관
- 한국환경에너지공학회
- 저자명
- 한소영 윤진한 이정규 전민규
- 간행물 정보
- 『한국환경에너지공학회 학술대회지』2022년 춘계학술발표회, 208~208쪽, 전체 1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16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armunt of nmcal waste has been increasing significantly over the past 10 years due to the increase in nursing facilities due to an aging population and the outbreak of new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VID-19. In addition, due to the fact that disposable diapers are excluded from general medical waste through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Waste Managerrent Act in October 2019, the ratio of wastes with concerns about infection is increasing. Since infection waste cannot be opened, this study aims to predict the calorific value and incinerate medical waste according to the high calorific value by analyzing simulated medical waste and surveying the operation status of commercial medical waste incinerators. Characteristics and calorific value of 40 types of simulated medical wastes distributed in Korea and containers for COVID-19 waste were analyzed. The sirrrulated medical waste can be divided into plastics, vinyl and synthetic resins, and textiles, and the calorific value was irradiated with an average of 9,136 kcal/kg, 10,115 kcal/kg, and 4,336 kcal/kg, respectively, and the CDVID-19 exdusive container was 10,870 kcal/kg. has a very high calorific value. As shown in the sirrrulated medical waste analysis results, it contains a lot of vinyl, synthetic resins, and plastics, so it has a high calorific value.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n appropriate incineration plan. Low Excess Air technology, Air Staging technology, combustion l.6tm/day, a dermnstration plant with Flue Gas Recirculation technology, Auto Air Control System (AACS), real-time calorific valu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energy recovery efficiency calculation method, and SNCR optimizatim teclmol~ It is planned to be applied to an incinerator dedicated to medical waste.
영문 초록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탄소중립을 위한 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체계 확립
- KIER 폐플라스틱 가스화 개발 현황
- 연천 음식물류폐기물 재활용 금융재조달 (Refinancing)
- 발전소 온배수와 BAT
- 고형연료제품 제조시설 발생 잔재물의 특성 분석
- [특별세션 - 폐기물 가스화 기술의 현황 및 전망] 폐자원 가스화를 통한 수소 생산 - 국가 R&D 추진방향
- NO, CO, VOC 동시 제거를 위한 MnFeOₓ/Al₂O₃ 촉매의 활성평가
- 국내 석유화학기업의 통합환경허가제도 이행을 위한 지속가능채권 발행 사례
- 석회석 슬러리에서의 탈질 개선을 위한 아민 첨가제의 영향
- 전기화학적 레독스 산화환원 짝반옹을 활용한 삼중수소 제거 시스템 개발
- 고형연료의 염소 및 황 분석을 위한 시험방법별 비교
- 통합환경 관리 최적 가용기법(BAT)의 ESG 평가에서의 시사점
- 반탄화 수율 기반 바이오매스 열분해 거동 예측 모델 개발
- 환경오염방지 및 건강보호를 위한 금융지원 연구
- 폐기물소각시설의 에너지회수효율 및 유효이용에너지 분포 분석
- 식품가공공장 FEMS 적용을 위한 데이터 스케일링 방법에 따른 에너지 소비 예측 모델의 성능 비교 연구
- 철강슬래그의 용해 및 CO₂ 직접수성 탄산화 특성
- 기후변화가 美國의 국가안보에 끼치는 영향
- 모사의료폐기물 성분분석을 통한 COVID-19 이후의 의료폐기물 발열량 예측 및 적정 소각방안 고찰
- 탄화 반응 특성별 Biochar의 특성 비교
- 폐지의 재활용을 향상시킬 BAT 운전방안
- 전산유체역학을 사용하여 시멘트 하소기 내 염소제거를 위한 미연탄 연소반옹 해석 연구
- 혼합 폐플라스틱 열분해로 얻어지는 액상생성물의 수율 향상에 관한 연구
- 탄소중릭을 위한 페이퍼리스 업무 보안점 연구
- 폐자원에너지시설 지원 방법론에 관한 연구
- SCR 촉매 세라믹필터의 NOx 저감 성능 평가
- 고온용융염계 분위기에서 Fe, Ni기 초내열 합금의 부식거동
- 질소도핑을 통한 흐름식 레독스반옹 담수화 공정용 다공성 탄소 전극개발
- 방사성탄소연대 측정법을 이용한 고형연료제품 바이오매스 함량 분석에 관한 연구
- 농업부산물의 특성에 따른 온도별 건조특성 분석
- 분석 표준운영절차를 활용한 시멘트 공정의 폐기물 연료 활용 적정성 검토
- 한국산업은행의 녹색금융 지원체계
- 수은오염 토양의 굴착 정화를 위한 열적처리 기초 실험
- 바이오매스 열분해 반옹기 모델링을 통한 보일러 연계 바이오차 생산공정 설계인자 분석
- 환경규제 강화가 석탄화력발전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수열 에너지 취수시스템의 오토스트레이너 CFD 해석
- EU Industrial Emissions Directive (EID) 개정안의 주요내용 및 정책적 시사점
- ANN을 활용한 식품공장의 에너지 소비 예측
- 탄소배출권 거래제도와 금융시장의 동향
- 고무 사출 성형문제 해결을 위한 금형 설계
- 국지배출에 의한 서울시의 연무생성 잠재력의 해석
- 뉴스미디어에 대한 자연어처리 기반 그린워싱 감지 플랫폼 개발
- 기포 유동충 반옹기에서 일회용 COVID-19 마스크의 CO₂ 가스화 특성 연구
- 석탄화력 보일러의 미분탄-암모니아 혼소 전산유체해석을 위한 암모니아의 굴로벌 연소 메커니즘 개발
- 시멘트산업 배출 CO2 활용 메탄올 합성공정 경제성 평가
- 자원순환형 전기화학적 처리장치를 이용한 절삭유 처리 특성
- 고형연료제품(SRF) 사용시설의 환경안전성 평가항목 고찰
- 고형연료제품 제조 • 사용시설 에너지회수효율 산정방법 마련 연구
- 제21대 국회 상정 폐기물 관련 법률안 방향성 연구; 2021년 1월부터 10월까지 제출된 법률안에 한정하여
- 환경오염시설 통합관리를 위한 금융지원 방안
- 열분해 합성가스의 간헐적 주입이 혐기성소화 효율에 미치는 영향
- 반탄화설비에 의한 유기성폐기물 이용
- 금-은 폐광산 광미의 수은 열적감량 특성 연구
- 수열원 적용 HVAC 시스템의 열원특성 검토 및 사례 응용에 관한 연구
- 지재권 관점의 수열 에너지 R&BD 검토
- 수열탄화를 통한 EFB 연료화 및 무기물 특성 변화에 따른 파울링 저감
- 폐자원 가스화기술 운영 현황
- 폐플라스틱 열분해 상용화 기술개발 사례
- 탄소중립이행을위한 순환경제정책방향
- MSW 소각시설 대제 기술로서의 가스화 발전 기술개발 결과
- 생석회를 이용한 CO₂ 직접수성 탄산화 반옹 특성
- (정수장 A, B 실증 결과 기반) 수열원 활용 최적화 시스템 실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