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철학과 문학에서의 음악과 음악교육
이용수 66
- 영문명
- The music and music education in philosophy and literature
- 발행기관
- 한국문화예술교육학회
- 저자명
- 정재형
- 간행물 정보
- 『모드니예술』제20호, 85~94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무용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음악적 모국어란 무엇인가? 뮤지컬 모국어란 음악계가 정의하는 민속음악이나 민족음악을 뜻한다. 민속음악 '아리랑'이 갖고 있는 모국어로서의 음악성은 민족의 정체성을 의미한다. 국가 정체성은 개인의 정체성입니다. 정체성이라는 주제는 철학적으로도 가장 중요하며, 예술교육의 목적이기도 하다. 예술교육은 지식 학습을 위한 보조 보조 수단으로서 지식 교육의 부차적인 것이 아니라 인류의 자아실현이자 정체성을 위한 도구이자 삶 자체의 개념이다. 예술, 먹이, 감정, 연민의 동의어가 삶 자체를 윤곽을 잡기 때문입니다. 본 논문은 철학과 문학에서의 음악을 어떻게 고찰할 수 있는지, 이상적인 음악교육은 무엇인지를 담고 있다. 나는 자신의 글을 읽음으로써 예술을 어떻게, 무엇을 가장 중요하게 대하는지를 조작하는 음악에 대한 다양한 견해를 분석합니다.
영문 초록
What is musical mother- tongue? Musical mother tongue means the folk music or the national music that the musical world defines. A musicality as the mother- tongue which the folk music ‘Arirang’ has refers to the national identity. A national identity is personal one in person. The theme of the identity i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erms of philosophy, and also the purpose of arts education. Arts education is not a secondary thing for knowledge education as a chosen secondary aid for knowledge learning, but a self-realization of humankind, the tool for an identity and a concept for the life itself. Because the synonym for arts, feedling, emotion, and compassion contours the life itself. This paper contains how the music in philosophy and literature can be considered and what the ideal music education is. I analyses diverse views about musics, which manipulate the arts how and what they treats most importantly through reading their own writings.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맥신 그린의 심미적 예술교육(Aesthetic
Education)
Ⅲ. 프리드리히 니체와 디오니소스 음악
Ⅳ. 헤르만 헤세와 북스테후데 오르간곡
Ⅴ. 밀란 쿤데라와 베토벤 현악사중주
Ⅵ. 니코스 카잔차키스와 그리스 음악적 모국어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무용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무용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