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위등세모근 통증유발점이 있는 목 통증 환자의 압력 통각 역치 및 근활성도에 대한 뉴렉 기법의 즉각적인 효과
이용수 19
- 영문명
- Immediate Effects of Neurac Technique on Pressure Pain Threshold and EMG Activity in Patients with Neck Pain and Upper Trapezius Trigger Point
- 발행기관
- 한국임상움직임치료학회
- 저자명
- 하용목 어인준 손정호 신선실
- 간행물 정보
- 『한국임상움직임치료학회지』제3권 제2호, 30~36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Background Neck pain is a prevalent condition affecting 45-54% of the population, with chronic symp-toms experienced by 14% of individuals, leading to significant productivity reduction and healthcare costs. Therapeutic exercise, particularly active interventions, has shown efficacy in reducing chronic neck pain. The Neurac (Neuromuscular Activation) technique aims to enhance active movement and create pain-free movement.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immediate effects of Neurac technique on pressure pain threshold (PPT), resting muscle activity measured through surface electromyography (sEMG), and pain level assessed using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in individuals with chronic neck pain.
Methods Fifteen adult participants with chronic neck pain were recruited from a university in Busan, South Korea. Neurac technique, involving four specific neck, and shoulder exercises using a Redcord Trainer, PPT, resting muscle activity, and pain level (VAS)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the Neurac technique intervention.
Results Following the Neurac technique, participants demonstrated a significant increase in PPT (p < 0.001) and a significant decrease in pain level measured by VAS scores (p < 0.001), indicating reduced pain. However, no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resting muscle activity during the rest period (p = 0.616).
Conclusions This study found that the Neurac treatment program effectively reduced pain and in-creased pressure pain threshold in individuals with neck pain associated with trigger points in the upper trapezius muscle, although no significant changes in muscle activity at rest were observed.
영문 초록
목차
Introduction
Methods
Results
Discussion
Conclusion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B-슬라이드를 이용한 월슬라이드 운동이 앞톱니근과 위등세모근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클램쉘 운동 시 골반 회전 조절 방법이 중간볼기근의 활성도와 골반 회전량에 미치는 영향
- Ultrasound Characteristics of The Abdominal Muscle Thickness during Prone Hip Extension Test in Subjects with and without Lower Back Pain
- 위등세모근 통증유발점이 있는 목 통증 환자의 압력 통각 역치 및 근활성도에 대한 뉴렉 기법의 즉각적인 효과
- 뒤통수밑근 근막이완기법이 전방머리자세 환자의 머리척추각과 상부 목 굽힘 각도에 미치는 영향
- 골반 기울임이 다른 대상자의 앉은 자세에서 시간에 따른 몸통 근활성도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