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차성 불면증의 인지행동치료의 체계적 고찰
이용수 7
- 영문명
- A Systematic Review of Cognitive Behavior Therapy for Patients With Primary Insomnia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김원진 장문영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23권 제4호, 135~14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일차성 불면증을 위한 인지행동치료의 효과를 체계적 고찰을 통해 알아보고 자 하였다. 연구방법 : 논문 검색을 위해 사용된 6개의 데이터베이스(CINAHL, EBSCOhost, Emabase, MEDLINE, Ovid, PsycINFO)로부터 기준에 적합한 11편의 연구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연구는 PICO 방법을 사용하 여 분석하였고 연구의 질은 두 명의 연구자에 의해 PEDro scale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11편의 평균 PEDro 점수는 6.3점이었다. 결과 : 인지행동치료의 주요 중재 요소 중 자극통제와 수면억제가 불면증 중재에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중 재효과는 총 침상 각성시간, 총 수면시간, 수면효율성, 서파수면 시간의 순으로 효과적이었다. 인지행동 치료는 약물치료와 비교하여 불면증 치료에 효과적이었다. 결론 : 인지행동치료는 만성 일차성 불면증을 완화하기 위한 다른 심리적, 약물 치료적 접근법보다 더 효율 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임상에서 불면증을 중재하는 방법으로 객관적인 근거가 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rough a systematic review the effect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persistent primary insomnia. Methods : A search of six research databases (CINAHL, EBSCOhost, EMBASE, MEDLINE, Ovid, and PsycINFO) yielded eleven studies that met selection criteria. Articles were reviewed by two reviewers assessed the quality of the articles using PEDro scale. The average PEDro score of eleven studies was 6.3 points. Results : Stimulus control and sleep restriction were included in all studies. Among beneficial outcomes, improvement of total wake time, total sleep time, sleep efficiency, and slow-wave sleep time were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is effective for treating insomnia when compared with medications. Conclusion : Cognitive behavior therapy was more effective than the other psychotherapy and pharmacotherapy approaches relieving chronic primary insomnia in the studies. This evidence can be used to relive the primary insomnia in a clinical sett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형 작업치료사 필수역량 개발연구
- 지역사회기반(Community-Based) 중재가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 일차성 불면증의 인지행동치료의 체계적 고찰
- 한국형 뇌졸중 운전자 적격성 검사(K-SDSA)의 타당화 연구
- 초기 청소년의 감각처리특성 및 인성간의 관련성 연구
- 운전시뮬레이터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시각 및 신체 반응 속도에 미치는 영향 : 단일 사례 연구
- 척수손상 장애인의 지역사회 이동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Cognitive Orientation to daily Occupational Performance (CO-OP) 중재법에 관한 체계적 고찰
- 연하재활 영역에서의 감염관리 실태 연구
- 국내 학교작업치료사의 직무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