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 평가를 위한 한국형 캐서린 버지고 척도(K-CBS)의 신뢰도와 타당도 연구
이용수 6
- 영문명
-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Catherine Bergego Scale for Evaluation of Unilateral Neglect in Stroke Patients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이복은 최혜숙 한수정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23권 제2호, 45~5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행동적 편측무시를 평가하는 Catherine Bergego Scale (CBS)을 한국어로 번안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함에 있다. 연구방법 : 한국형 캐서린 버지고 척도(Korean Catherine Bergego Scale; K-CBS)의 개발을 위해 원 도구 개발자에게 한국에서의 번안과 사용을 허락 받았다. CBS 원문을 한글로 번안하여 번역-역번역 기 법에 따라 번역타당도를 구하고, 9명의 전문가에게 내용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선 나누기 검사와 알버트 검사와의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수렴타당도를 구하고, 요인분석을 통하여 구성타당도를 구하였다. 신뢰도 검증을 위해 내적일관성(Cronbach’s α와 항목이 삭제된 경우 Cronbach’s α)을 구하였다. 자료수집은 서울시에 소재한 병원에 입원, 외래로 재활치료를 받는 뇌졸중으로 인한 왼쪽 편마비 환자 127명을 대 상으로 2013년 10월부터 2014년 04월까지 진행되었다. 결과 : 번역-역번역 기법에 따라 번역타당도가 수립되었고, 전문가에 의한 내용타당도지수는 .98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수렴타당도는 Pearson 상관계수가 선 나누기 검사(r=.719), 알버트 검사(r=.671)로 K-CBS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성타당도를 위한 요인분석 결과 10개의 항목이 모두 하나의 요인으로 묶였다. 내적일관성은 .956으로 항목간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해당 문항이 제거 되었을 때의 Cronbach’s α값보다 높아지는 항목은 없었다. 결론 : K-CBS는 한국에 거주하는 뇌졸중 환자들에게 적용하였을 때 행동적 편측무시를 평가하는 도구로 써 높은 수준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되어 국내에서의 적용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추후에는 K-CBS의 임상에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검사자간, 검사자내 신뢰도 검증 등 다양한 후속 연구들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the Catherine Bergego Scale (K-CBS) for an evaluation of behavioral neglect and verify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Methods : With the developer’s permission, the scale was translated into Korean using a translation- reverse translation technique. In addition, the content validity index was identified by nine experts. Usi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a Line Bisection Test and Albert’s Test, the convergent validity was identified. In addition, the construct validity was identified through a factor analysis. Internal consistency was also identified using Cronbach’s α value and Cronbach’s α if item deleted. Results : K-CBS verified the translation validity. The CVI shows a very high value of .98. The convergent validi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K-CBS using a Line Bisection Test (r=.719), and Albert’s Test (r=.671). A factor analysis showed the bounding of ten items to one. Cronbach’s α value was .956, meaning a high correlation among items. Conclusion : As a tool for evaluating the behavioral neglect of stroke patients, K-CBS’s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verified, and showed the applicability of K-CBS in a Korean clinical set. Further reliable studies for a better application of K-CBS in a Korean clinical set will be need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Appendix 1. Korean Catherine Bergego Scale (K-CB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로봇을 이용한 왼손의 능동 보조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에 미치는 효과 : 단일대상연구
- CO-OP접근법이 뇌졸중 환자의 작업수행에 미치는 효과 : 예비연구
- 상황인식(Situation Awareness)에 기반한 운전능력 측정방법에 관한 체계적 고찰
- 한글판 건강 증진 생활양식 프로파일(Korean Version of Health Enhancement Lifestyle Profile; K-HELP)의 개발 및 신뢰도 연구
- 노인 경도 인지장애를 위한 선별평가 항목 개발
- MVPT-3를 사용한 전 학령기 아동의 시지각 능력에 대한 기초 연구
-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 평가를 위한 한국형 캐서린 버지고 척도(K-CBS)의 신뢰도와 타당도 연구
- 갑상선 절제술 환자의 연하장애 재활치료 : 사례연구
- 저항성 고개 숙이기 운동이 연하장애를 동반한 뇌졸중 환자의 연하기능에 미치는 영향
- 국내 작업치료사의 역량수준 진단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