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작업치료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용수 6
- 영문명
-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Turnover Inten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양노열 박지혁 한대성 이주현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22권 제4호, 39~48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조사하여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효율적인 인적자원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임상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4개 영역의 33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여 이직의도, 일반적 특성, 직무만족, 조직몰입 수준을 확인하였고, 일반적 특성별 이직의도 차이, 이직의도와의 상관관계를 검증하였다. 또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추정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사의 이직의도 수준은 13.1/20점, 직무만족은 45.2/60점, 조직몰입은 17.4/30점이었다. 일 반적 특성별 이직의도의 차이는 성별과 월급여에서 유의하였고, 이직의도는 월급여, 직무만족, 조직몰입 의 변수들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회귀분석 결과 이직의도는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따라 유의한 영 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무만족과 조직몰입은 중요한 예측 변수로 확인되었다. 결론 : 작업치료사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정기적인 교육과 프로그램 제공, 멘토링 제도 마련 등의 방안을 마련하여 작업치료사가 만족하면서 오래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turnover inten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Methods : A survey of 33 questions in four areas was conducted by occupational therapists. A total of 564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differences of each variable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were analyzed. The correlation among the turnover intenti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verified. In addition, the factors affecting the turnover intention were estimated through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The levels were 13.1 for turnover intention, 45.2 for job satisfaction, and 17.4 for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turnover inten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the gender and monthly payment. The turnover intention was correlated with monthly paymen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Moreover, the turnover intention was affected by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clusion : To reduce the turnover intention, regular training, an educational program, and a new communication system must be provid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V.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작업치료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근위축성측삭경화증 클라이언트의 생애사적 연구: 발병 전과 후를 중심으로
- 뇌졸중 환자의 운전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작업치료 임상용어체계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 작업치료 의무기록 시스템 현황 및 용어체계 표준화 요구도 조사
- 뇌손상 환자를 위한 컴퓨터 기반 운전상황인식 과제 개발
- 한국형 컴퓨터 인지프로그램 CoTras가 뇌졸중 환자의 기억력과 뇌파에 미치는 효과: 단일대상연구
- 뇌졸중 후 편마비 운전자의 운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뇌졸중 상지재활에서 동작관찰훈련의 신경과학적 근거
- Seated Postural Control Measure (SPCM)의 번안 및 신뢰도 연구
- 한 손 추진이 가능한 편마비 환자용 수동 휠체어 개발 및 평가
- 한글판 School Function Assessment (SFA)의 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