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기 아동 어머니의 시간사용과 작업균형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Time Use and Occupational Balance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홍소영 김경미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22권 제3호, 125~14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이 연구는 2009년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생활시간을 분석하고, 작업 영역별 수행 시간량을 통한 작업균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통계청의 2009년 생활시간조사 원 자료를 사용하여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2,369명의 시간사용량 을 분석하였다. 작업영역을 수면, 일상생활활동, 육아, 노동, 여가로 재분류하였고 각 영역별 시간사용량을 기준 으로 작업균형집단과 불균형집단을 분류하였다. 작업균형집단과 불균형 집단의 시간사용에대한 차이를 알아보 기 위하여 독립 t 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작업영역별 작업균형 시간범위는 수면이 370~550분, 일상생활활동은 100~230분, 육아는 40~300분, 일 은 210~560분, 여가는 100~360분 이었다. 작업균형집단은 불균형집단에 비해 육아시간이 줄어들었고, 수면과 여가시간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전략을 수립하고, 장애가 있 는 자녀를 둔 가정의 가족지원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ime use and occupational balance of mothers withyoung children. Methods : A researcher analyzed the time use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n=2369). The data were collectedfrom a ‘2009 Time Use Survey’. The mean data of each area were used to analyze the occupational balance ofthe mothers. Results : The areas of occupational balance based on time ranged from 370 to 550 minutes of sleep, 100 to 230minutes of daily life activities, 40 to 300 minutes of child care, 210 to 560 minutes of work, and 100 to 360minutes of leisure time. The occupationally balanced groups showed that the amount of time given to child carewas reduced, and the amounts of sleep and leisure time increased. Conclusion :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in partnership with families need to consider the time allocation ofmothers with young childr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복합 중재법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예비 연구
- 척수손상 환자들의 고통체험 : Parse의 인간 되어감 연구방법 적용
-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하기능 검사의 흡인에 대한 예측타당도
- 가정 내 일상생활활동 평가도구 개발
- 혀의 저항 운동이 연하장애를 동반한 만성 뇌졸중 환자의 혀 근력, 연하기능, 식이단계에 미치는 영향
- 강제 유도 운동치료(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가 편마비를 가진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효과 : 메타분석
- 유아기 아동 어머니의 시간사용과 작업균형분석
-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운전재활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 조사
- 한국형 자가보고식 노인 안전운전행동 측정도구(K-SDBM) 개발 및 신뢰도 연구
- 작업치료(학)과 임상실습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