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노인의‘의미 있는 작업’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2
- 영문명
- Phenomenological Study on Meaningful Occupation of Nursing Home Living Elderly Person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송병남 전병진 이재신 김수경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20권 제2호, 41~5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6.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요양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들에게 어떠한 작업이 자신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의미 있는 작업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자는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요양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 7명에게 심층 인터뷰를 2011년 3월부터 2011년 5월까지 약 2개월간 각 3∼4회 실시하였다. 대상자들이 요양시설에 거주하면서 겪는 경험에 대하여 반복되는 이야기나 더 이상 새로운 내용이 나오지 않는 포화상태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 및 분석은 Giorgi가 제안한 4가지의 구체적 절차에 따라 이루어졌다. 결과 : 요양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들의 의미 있는 작업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57개의 의미 단위, 11개의 하위 구성요소, 4개의 구성요소로 도출되었다. 구성요소로는 선행과 봉사, 가족 구성원으로서의 역할, 친구 만들기, 종교적 활동으로 나타났다. 결론: 요양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들은 요양시설에 거주하면서 ‘선행과봉사’, ‘ 가족 구성원으로서의 역할’, ‘ 친구만들기’, ‘종교적 활동’ 등의 의미 있는 작업을 수행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작업치료사들은 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노인을 중재할 때 이러한 의미 있는 작업들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as a phenomenological study, and applied Giorgi's technical phenomenology to study the meaningful occupation of elderly persons living in a nursing home. The main question for this research started with“ What is the experience the meaningful occupation in elderly persons living in a nursing home?” Methods :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were elderly persons over 65 years of age with experience in meaningful occupation. The data was collected from March 2011 until May 2011, and was genera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re were 7 participants in total. All of the interview data was transcribed and analyzed just as the participants articulated. Results : The results of the study consisted of 57 semantic units, 11 sub-components, and 4 components. The 4 components are presented below.‘ Good deeds and service’,‘ Role of family members’,‘ Making friends’, ‘Religious activities’. Conclusion : When entering the nursing home, the meaningful occupation aimed at a ‘successful life.’ However, as time passed, the goal of the patients changed to a ‘good death.' In addition, the goal according to this changing, meaningful occupation remained the same, but the factors were differ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과제 지향적 활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과 균형능력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글씨쓰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정신보건 작업치료의 효과에 관한 체계적 고찰
- 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노인의‘의미 있는 작업’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전반적 발달장애아의 자폐성향 및 자폐정도에 따른 감각처리 비교
- 작업치료사 국가시험 실기과목의 개선 방안에 관한 델파이 연구
- 뇌졸중 환자에서 기초지능과 관리지능이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 발달장애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작업수행기술 간의 관련성
- 컴퓨터 작업 동안 키보드의 위치가 척수손상자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실태조사
- 한국 작업치료의 인지재활 실태 조사
- 목표설정이 급성기 뇌졸중 환자들의 일상생활활동과 불안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정신건강 중재에 대한 연구 동향: 계량서지학적 분석
-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부모 매개 중재(Parent-mediated intevention)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