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회복을 위한 중재에 대한 체계적 고찰

이용수  14

영문명
Interventions to Promote Upper Limb Recovery in Stroke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발행기관
대한작업치료학회
저자명
김환희 김경미 장문영
간행물 정보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20권 제1호, 129~145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3.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3년간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회복을 위해 사용된 중재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근거 자료들을 P(Patient). I(Intervention). C(Comparison). O(Outcome). 방법에 따라 제시하여 임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연구방법 : 2008년 1월부터 2011년 4월까지 외국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PubMed와 MEDLINE을 통하여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용어(key words)는“(stroke OR CVA) AND (hand OR upper OR shoulder) AND intervention” 을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52개의 Randomized Controlled Trials(RCT)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근거를 제시하기 위한 방법으로 P.I.C.O. 방법을 사용하여 제시하였다. 결과 :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회복을 위해 사용된 중재방법은 20개이었으며, 총 56회 사용되었다. 그 중 강제유도운동치료가 12회(21.48%)로 가장 많았으며, 전기적 치료 10회(17.90%), 양측성상지훈련 7회(12.53%), 근력 운동 및 로봇치료 4회(7.16%), 가상현실 치료 3회(5.37%)이었다. 연구 분석 결과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에 강제유도운동치료와 전기적 치료가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중재방법의 종류와 빈도를 제시하였고, 가장 많이 사용되는 강제유도운동 치료 및 전기적 치료의 중재방법에 대한 근거 논문들을 P.I.C.O. 방법으로 제시하였다. 결과는 임상 치료사들이 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치료방법 및 기간, 평가도구를 선택하는데 근거 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회복을 위해 새롭게 개발되어 임상에 소개되는 중재방법과 중재의 효과에 대한 연구를 분석하여, 근거를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앞으로는 국내의 뇌졸중 재활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usage frequency of interventions for promoting the upper limb recovery of stroke patients. For this purpose, published articles were analysed using the PICO principle. Methods : For the main key words of a database search,“ (stroke OR CVA) AND (hand OR upper OR shoulder) AND intervention”were used. We systematically examined papers published in journals from January 2008 to April 2011, using PubMed and MEDLINE. Fifty-two studies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were included in the analyses. Results : The number of discovered interventions for promoting the upper limb recovery of stroke patients was 20, with a frequency of 56. The frequency of use is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at 12; electrical stimulation, 10; bilateral arm training, 7; strength exercise & robotic therapy, 4; and virtual reality, 3. The articles (Constraint Induced Movement Therapy, electrical stimulation) were analyzed based on patient,intervention, comparison, and outcome using the PICO principle. Conclusion : This paper conducted a systematic review of research articles reporting on the intervention used to promote the upper limb recovery of stroke patients over the past 3 years. This research is also expected to help select a subject, intervention, duration, and assessm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환희,김경미,장문영. (2012).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회복을 위한 중재에 대한 체계적 고찰.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0 (1), 129-145

MLA

김환희,김경미,장문영.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회복을 위한 중재에 대한 체계적 고찰."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0.1(2012): 129-1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