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소진 척도개발 및 타당화
이용수 86
- 영문명
- Development of a Mother’s Parenting Burnout Scale Based on the Personality Type of Enneagram
- 발행기관
- 한국부모교육학회
- 저자명
- 한수희 이소희
- 간행물 정보
- 『부모교육연구』제20권 제2호, 59~7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어머니의 성격특성에 따른 양육소진 상황을 파악함으로써 양육소진을 예방하고 건강한 가정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소진 척도(VETI-MB)를 개발하고 검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및 어머니를 대상으로 워크숍과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양육소진 상황에 대한 문항을 수집하였으며, 전문가 타당도를 통해 선정된 문항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문항은 문항 간 상관분석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107문항이 최종척도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최종척도의 신뢰도 Cronbach ɑ의 계수는 .875-.941로 나타났다. 이후, 개발된 척도의 타당화 검증은 타당도와 신뢰도를 인정받은 검사도구인 VETI-A(비전에니어그램 성인용 성격검사)와 VETI-M(비전에니어그램 어머니용 성격검사)와의 공인타당도, 구성타당도 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는 어머니가 자신의 에니어그램 성격적 특성에 따른 취약한 양육소진 상황을 알고, 부모 교육 현장이나 양육 현장에서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erify a mother's parenting burnout scale (VETI-MB) according to the Enneagram personality type so that it can help prevent parenting burnout and create a healthy family by identifying the parenting burnout situation according to the mother'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To this end, literature studies and workshop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mothers with infants and toddlers were conducted to collect questions on the situation of parenting exhaustion, and selected questions were extracted through expert validity. The extracted questions were tested for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questions, and 107 questions were composed of final scale questions. The coefficient of the reliability Cronbach ɑ of the final scale was .875-.941. Subsequently, the validity verification of the developed scale was verified by correlating the type consistency between Vision Enneagram Adult Personality Test (VETI-A) and Vision Enneagram Mother Personality Test (VETI-M), which are validation and reliability tests.
The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mothers know the vulnerable parenting exhaustion situation according to their Enneagram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can be used as a powerful tool in parent education sites and counseling.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척도의 개발
Ⅳ. 척도의 검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