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Effects of sitting time and smoking on perceived stress in adults under 65 years of age
이용수 67
- 영문명
- Effects of sitting time and smoking on perceived stress in adults under 65 years of age
- 발행기관
- 한국기초간호학회
- 저자명
- Hyunji Park Yunhee Kim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제25권 제2호, 123~130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Sitting time, smoking, and perceived stress strongly influence physical health independent of physical activity. However, the associations among perceived stress, sedentary behavior, and smoking are poorly understood. Therefore, we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itting time, smoking, and perceived stress in Korean adults aged < 65 years.
Methods: We analyzed data from the seven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In this cross-sectional study, data from 6,890 Korean adults aged < 65 years were analyzed. Complex-sample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sitting time, smoking, and perceived stress.
Results: The group with a high sitting time (≥ 8 h/day) and those who smoked had significantly higher odds of experiencing stress than the low sitting time (< 8 h/ day) and non-smoking groups (odds ratio: 1.88, 95% confidence interval: 1.42-2.50).
Conclusion: Perceived str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urrent smoking status and increased sitting time. High sitting time (≥ 8 h/day) and current smoking were associated with a higher risk of perceived stress in Korean adults aged < 65 years.
목차
INTRODUCTION
METHODS
RESULTS
DISCUSSION
CONCLUSION
ORCID
CONFLICT OF INTEREST
AUTHORSHIP
FUNDING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앱기반 치매예방 인지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경로당 이용 노인을 중심으로
- Effects of sitting time and smoking on perceived stress in adults under 65 years of age
-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이용한 이상지질혈증 유병자의 지질관리 취약군 예측: 2019-2021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 COVID-19 대유행 시기 전후 국내 감염관련 환자안전 사고 보고 현황 분석
- 간호대학생의 인지적 유연성과 이러닝 디지털 리터러시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 응급실에 내원한 발열 환자에서 암 진단 유무에 따른 임상증상의 중증도에 대한 후향적 조사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