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자녀의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이용수  74

영문명
The mediating effect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social anxie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and child's smartphone addic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발행기관
한국발달지원학회
저자명
이미진(Mi Jin Lee) 김도연(Doh Yun Kim)
간행물 정보
『발달지원연구』제11권 제2호, 117~136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자녀의 스마트폰 중독,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사회불안의 관련성을 살피고,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자녀의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사회불안의 순차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의 고등학생 376명이었으며, 심리적 통제 척도(PCS-YSR), 스마트폰 중독 척도(S-척도),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CERQ), 사회불안 척도(SAS-A)를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0와 PROCESS macro 3.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매개효과 및 유의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스마트폰 중독,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사회 불안은 모두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불안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으나,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사회불안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을 낮추기 위한 예방과 치료적 개입의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child's smartphone addiction,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social anxiety, and to verify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social anxie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and child's smartphone addic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76 high school stu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psychological control scale (PCS-YSR), the smartphone addiction scale (S-scale), the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scale (CERQ), and the social anxiety scale (SAS-A).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ediating effect, and significance verification were conducted using SPSS 21.0 and PROCESS macro 3.5 programs.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smartphone addiction,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social anxiety all showed positive correlation.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anxiety was significant in the effect of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on smartphone addiction, but the mediating effect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was not significant. Third, it was found that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social anxiety was significant in the effect of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on smartphone addiction.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미진(Mi Jin Lee),김도연(Doh Yun Kim). (2022).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자녀의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발달지원연구, 11 (2), 117-136

MLA

이미진(Mi Jin Lee),김도연(Doh Yun Kim).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자녀의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발달지원연구, 11.2(2022): 117-1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