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신지체아동의 평면표현활동 수행에 대한 사회연령별 분석
이용수 3
- 영문명
- The study on basic drawing performance level based on developmental stage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through plane expression
- 발행기관
-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놀이치료연구』놀이치료연구 제8권 제1호, 141~15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6.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지체아동의 미술지도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정신지체아동의 그리기와 채색하기 등과 같은 기초기능의 수행수준을 사회연령별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102명의 정신지체아동을 대상으로 평면표현활동에서 나타난 그리기와 채색하기의 특성을 유목별로 채점하여 백분율과 그래프로 결과를 제시하였다. 정신지체아동의 평면표현활동은 사회연령의 증가에 따라 기능이 향상되었으나, 사회연령 6세를 기준으로 그리기와 채색 수행의 향상이 달리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신지체아동의 미술교과 지도를 위한 연령 발달단계별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시사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llustrate the performance levels of Art activity which were conducted by mentally retarded children with different age groups. The research was proceeded by the points on their basic functional levels of the drawing and coloring through plane expression activity, and by comparison on the abovementioned activities of the each groups. One hundred and two mental retarded children in middle school level in school for mental retarded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Art activities were divided into basic functions of drawing and coloring based on the curriculum of the school for mental retarded. Every performance levels of these activities were scored with 5-Likert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 (a) the basic function of drawing shows successfully drawing lines and figures; (b) the basic function of coloring are able to color with crayon pastel as leaning or standing; and (c) the children aged 1 to 2 years showed the similar performance level in drawing and coloring, but in the age of 6 the performance level of drawing was shown to increase than those of coloring, and as the social age gets lowered the performance level of coloring was shown to be higher than drawing.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a) th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increase the skills of drawing and painting in Art performance; and (b) the Art curriculum of the school for mental retarded is considered based on their performance levels in drawing and color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애도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유방암 절제술을 받은 여성의 충격완화와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 음악치료사 역량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음악심리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마음 건강, 마음 읽기, 마음 챙김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