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정전문간호사의 소진경험
이용수 148
- 영문명
- Burnout Experience of Home Healthcare Nurses
- 발행기관
- 다문화건강학회
- 저자명
- 김순화(Sun-Hwa Kim) 김희정(Hee-Jeong Kim) 서민숙(Min-Sook Seo)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건강학회지』제12권 제1호, 85~9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4.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 related phenomenon structure and meaning by an in-depth exploration of theexhaustion experience of home healthcare nurses. Methods: Six nurses belonging to a general hospital or a higher gen eral hospital with home healthcare nursing experience were interviewed in-depth, and data were collected. Colaizzi s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Results: It was integrated into 13 topics, 6 topiccollections, and 3 categories ( be weary of home care, the responsibility and burden as a professional, and the drivingforce of overcoming exhaustion. )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ed the difficulties and demands faced by nurses whoparticipated in home healthcare nursing along with the adaptation process. Therefore,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isneeded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in the home healthcare nursing process.
목차
서 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 의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대학생의 인권의식과 다문화감수성 및 다문화효능감과의 관계
- 종합병원 간호사의 자기효능감,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이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 사범계열 대학생의 인권태도에 관한 연구
- COVID-19 상황의 간호학과 신입생들의 대학생활적응 경험
- 가정전문간호사의 소진경험
- 치위생과 대학생의 스트레스 요인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관련 연구
- 대학병원 간호사의 근무 형태에 따른 일주기리듬, 주간졸음 및 피로의 관계
- 북한이탈 여성의 자궁경부암에 대한 인식 : 포커스그룹 면담
- 소집단 협력학습 활동이 중등도 지적장애 아동의 언어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의 공감능력, 문화적 역량, 사회적 책임성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 COVID-19 펜데믹 상황에서 대학생의 여가활동 참여가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