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년의 체질량지수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이용수 84
- 영문명
-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in Middle Age People
- 발행기관
- 한국기초간호학회
- 저자명
- 박민정(Park, Min Jeong) 최소은(Choi, So Eun)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제24권 제1호, 26~35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BMI) in middle age people. Methods: Using the 2017 Korea Health Panel Data, a total of 4,711 subjects age 40–64 were selected and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ased on BMI levels (underweight, normal weight, overweight, obese). Influencing factors according to BMI in middle age people was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Results: Activity limited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middle age people. Walking and stress were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all weight groups. In the overweight and obese group, suicidal impulse was a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Conclusion: To improve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middle age people, effective walking and stress management for maintaining and managing health, as well as managing suicide risk in the overweight group and obese group are required.
목차
서 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 의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슐린요법을 받는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심리적 인슐린저항성이 자가관리에 미치는 효과
- 도시숲을 활용한 생활밀착형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40대 이상 성인의 신체조성, 심리상태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발열 환아 보호자의 응급실 방문 횟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Muscle Radiation Attenuation in the Erector Spinae and Multifidus Muscles as a Determinant of Survival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 보건소 COVID-19 전담대응인력의 역할스트레스 및 COVID-19 대응업무로 인한 외상,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 중년의 체질량지수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옥시토신의 역할: 체계적 문헌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