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남아시아 지역의 화인 이주과정에 관한 연구
이용수 98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중국문화학회
- 저자명
- 조원일
- 간행물 정보
- 『중국학논총』제72호, 223~23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Most of the Chinese immigrants in the 19th century migrated to the eastern part of the Malay Peninsula via Penang. At that time, the British colonial government recruited Chinese immigrants to supply Chinese labor. The influence of the Chinese in Penang has been greatly increased due to the continuous influx of Chinese immigrants. Specifically, looking at Chinese immigration, from 1805 to 1815, a large number of Chinese labor migrants, from about 500 to 1,000, arrived from Macao to Penang, Malaysia, and they were all contract migrants. In the late 19th century, most of the Chinese in the Malay Peninsula were resettlement from Penang and Singapore. At that time, the Malay Peninsula desperately needed to clear the jungle for farm development, and thus a large-scale labor force was needed. Therefore, the Chinese labor force that was overflowing in Penang and Singapore was able to meet the demand for labor in the Malay Peninsula.
목차
Ⅰ. 序言
Ⅱ. 말라카 해협 식민지 개척
Ⅲ. 말레이시아 지역 화인 이주
Ⅳ. 싱가포르 지역 화인 이주
Ⅴ. 結語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