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각장애인의 장애수용과 삶의 만족 간의 자기회귀 교차지연효과
이용수 134
- 영문명
- Longitudinal Relationships among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Life Satisfaction in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 발행기관
-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최희철(Choi, Hee-cheol) 박희정(Park, Hee-jung) 신혜정(Shin, Hye-j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제12권 제3호, 67~8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장애수용과 삶의 만족 사이의 종단적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의 2가지였다. 첫째, 이 연구는 장애수용과 삶의 만족의 종단적 자기회귀 효과를 알아보았다. 둘째, 이 연구는 장애수용과 삶의 만족 사이의 교차지연 효과를 알아보았다. 장애수용과 삶의 만족의 자료는 장애인고용패널 2차웨이브의 4차년도와 5차년도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장애수용과 삶의 만족의 종단적 자기회귀 효과와 두 변인 간의 교차지연 효과는 구조방정식 모델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모델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수용은 장래의 장애수용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삶의 만족은 장래의 삶의 만족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셋째, 장애수용은 장래의 삶의 만족에 유의한 정적 교차지연 효과를 보였다. 넷째, 삶의 만족은 장래의 장애수용에 유의한 정적 교차지연 효과를 보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s between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life satisfaction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in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The specific aims of this study were twofold: First, this study examined longitudinal autoregressive coefficients of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this study examined the cross-lagged effects between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life satisfaction. The data of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life satisfaction came from the 4th to 5th waves in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2nd Wave(PESD). The longitudinal autoregressive coefficients of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life satisfaction and the cross-lagged effects between the variables were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showed in the followings. First, acceptance of disability significantly predicted acceptance of disability in the future. Second, life satisfaction significantly predicted life satisfaction in the future. Third, the cross-lagged effect of acceptance of disability on life satisfaction in the future was significant in the positive. Fourh, the cross-lagged effect of life satisfaction on acceptance of disability in the future was significant in the positive.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s between acceptance of disability were reciprocal.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중학교, 고등학교 지체장애 학생의 직업흥미 분석: 직업흥미검사(NISE-VISIT)를 중심으로
- 가정 순회교육을 통한 AAC 활용 요구 모델 교수가 중도 지체장애 유아의 요구하기에 미치는 영향
- 권리중심 중증장애인 맞춤형 공공일자리 참여자의 역량 확장 경험과 인식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