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료가 스스로 말하게 하라”
이용수 115
- 영문명
- “Let the data reveal itself”: Narrative Inquiry as Qualitative Research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 저자명
- 최민수(Choi, Min Soo)
- 간행물 정보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제18권, 265~28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1.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narrative inquiry a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Narrative inquiry has gradually evolved from general qualitative research. Narrative inquiry has touched almost every discipline, including literature, anthropology, psychology, sociology, and education. In addition, narrative inquiry is being used increasingly in research on counseling because of the view that humans are natural storytellers. In an effort to find the meaning of our lives, individuals create stories wherein they can see themselves in the context of a narrative. Therefore, narrative theorists assert that the stories we tell not only reflect our reality but, through our stories, we create our reality. An in-depth, semi-structured interview format is used as the primary data gathering technique. Especially, narrative inquiry employs an important strategy: ‘let the data reveal itself.’Letting the data reveal itself means that this inquiry is conducted with the assumptions of the ‘naturalistic paradigm.’The naturalistic paradigm i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features: research in the natural setting and humans as the primary datagathering instruments. Thus, the narrative inquiry is always concerned with the search for meaning in people’s lives. However,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e fact that I did not provide practical examples in relation to narrative inquiry. This means that I strive to introduce and obtain rich descriptions of the narrative inquiry. I believe that this narrative inquiry may help the researcher and readers to more fully understand people’s individual lives and experiences.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질적 방법 안에서의 내러티브 연구 방법
Ⅲ.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떠남”에 대한 목회신학적 성찰
- 크리스천 코칭과 상담의 비교 및 통합적 적용에 대한 효과성 연구
- Satir 변형체계이론과 영성적 전인성 추구
- CPE 경험분석에 따른 자기인식의 장(Field)
- 철학상담의 정체성과 그 한계
- “자료가 스스로 말하게 하라”
- 자연경험을 통한 생태적 성숙성 연구: 중년기 기독성인들을 대상으로
- 종교성향에 따른 분노와 용서 및 갈등 대처양식이 이혼의도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장애, 진로태도성숙 및 영적 안녕과의 관계
- 상담과 코칭의 분리-통합 접근
- 대학생의 사이버섹스 중독과 권태감, 삶의 의미, 신앙성숙도와의 관계
- Psychopath: 반사회적 성격의 현황과 공감발달의 기독교적 접근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