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호스피스 상담과 기독교적 영적 돌봄
이용수 121
- 영문명
- A Study of Hospice Counseling and Christian Spiritual Care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 저자명
- 신연순(Shin,Youn-Soon) 송정아(Jungah Song)
- 간행물 정보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제22권, 129~15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1.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this study, it was concerned with the hospice counseling and spiritual care to help terminal patients to die peacefully. It also compared view of death between Korean traditional religion and Christianity. For humans, both life and death are reality. Death is neither the opposite of the life nor destroying lives. It is an appearance of life in itself and the opportunity to complete the life. Christianity helps men to save a soul as well as the human body, to get the ability to win the pain and the despair, to defeat Satan and the authority, and to receive an appointment to go to heaven and live happily ever in the future. It focused on how Hospice counselors access to terminal patients in terms of the spiritual salvation of Christianity. Christian Hospice counseling should be the spiritual care based on the Christian view of death to show the afterlife more clearly rather than the view of death in Korean traditional religious stance. In order to perform the spiritual caring successfully, Christian Hospice counselor should define his or her faith and be prepared well according to the patients’ environment. Only Christian hope and faith of life can make a comfortable and appropriate death and eliminate the fear and anxiety after death. Death can not be the fear for those who believe so it should aim to make patients convince their salvation and the heaven after death, and get peace of mind.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한국인의 죽음관
Ⅲ. 호스피스 상담과 기독교인의 영적 돌봄
Ⅳ.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Korean Men’s Relationality: Implications for Pastoral Theology and Care
- 공황장애의 실존적 불안 분석과 기독교 상담의 가능성 연구
- 호스피스 상담과 기독교적 영적 돌봄
- 부모-자녀 놀이치료에 대한 기독상담적 고찰
- 알코올 의존자들의 영성의 변화가 중독재활에 미치는 영향
- 욥기를 통해 본 기독교 상담에서의 하버마스 의사소통 합리성에 대한 연구
- Cultural Understanding of Spiritual Maturity in Korean American Immigrant Christians: A Literature Review
- 고등학생의 자기관리와 리더십 계발을 위한 기독교코칭 프로그램
- 최순옥 여사의 생애와 사상
- 알코올 중독자 성인아이의 동반의존 회복과정 연구
- 그리스도요법: 깨달음을 통한 치유의 과정
- 임상수련의 실제
- 몰트만의 생애와 저서에 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신학사상 209집(2025년 여름호) 목차
- 혐오는 어떻게 몸을 이루는가 - 집단 혐오에 관한 신경인문학적 이해와 체화된 사랑으로서 성육신에 관한 고찰
- 도잔소 프로세스에 나타난 에큐메니컬 평화운동의 특성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