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기통찰 프로그램이 놀이치료사의 전문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261
- 영문명
- The Effects of a Self-insight Program on the Developmental Status of a Play Therapist
- 발행기관
- 한국생애놀이치료학회
- 저자명
- 김금란(Kim, Guem ran) 한유진(Han, You-Jin)
- 간행물 정보
- 『한국생애놀이치료학회지』제2권, 31~5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8.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놀이치료사의 전문성 발달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기통찰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자기통찰의 과정으로 자기인식, 자기탐색, 자기이해의 세 가지 단계가 요구된다는 여러 학자들의 이론을 반영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연구 대상은 3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놀이치료사로, 실험 집단 6명, 통제집단 6명으로 구성하였고, 프로그램은 12회기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프로그램은 놀이치료사의 전문성의 발달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본 프로그램은 놀이치료사의 공감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셋째, 본 프로그램은 놀이치료사의 질적인 변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통찰이 놀이치료사의 전문성 발달을 높이는 데 중요한 요인이라는 점을 검증하였다. 둘째, 놀이치료사의 전문성 발달을 높이기 위한 효율적인 개입방법을 제시하였다. 셋째, 놀이치료사의 전문성 발달을 위한 실천적인 경험연구와 프로그램 개발의 토대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erform self-insight program and test the effects in order to improve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play-therapist. The program was designed reflecting the theories of various scholars that three stages, self-awareness, self-search and self-understanding as the process of self-insight. The study subject was play therapists with 5 years or more experience, with 6 in test group and 6 in controlled group, and the program was performed over 12 s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his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play therapists. Second, this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ympathising ability of play therapists. Third, this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in qualitative change of play therapist.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First, it proved that self-insight is an important factor in improving Professional development of play therapist. Second, the study suggested an effective interference method to improve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a play therapist. Third, it has provided a basis for developing programs and practical experimental study for developing professionalism of play therapis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