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그릿 측정도구의 국내 타당화 연구
이용수 103
- 영문명
- A Research on the Validation of the Korean Grit Scale for Employees
- 발행기관
- 한국기업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지영(Jiyoung Kim) 김우철(Woocheol Kim)
- 간행물 정보
- 『기업교육과 인재연구』기업교육과 인재연구 제23권 제2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HRD분야에서 그릿 측정도구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국내 성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기존에 개발된 그릿 측정도구의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적합한 요인구조를 검증하였다. 그릿 측정도구의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성인근로자 1,254명을 대상으로 그릿을 측정한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데이터는 SPSS를 통하여 표본을 무작위 배분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데이터의 평균, 표준편차, 정규성, 신뢰도 등의 사전 데이터 분석 후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에서는 기존의 8개의 문항 중 요인적재치가 기준에 부합하지 않은 1개의 문항을 제외하고, 나머지 문항들이 2개의 요인으로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에서 수정된 측정도구의 적합도를 확인하였고, 모든 문항이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구분된 요인에 적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모형비교를 통하여 2요인 7문항으로 이루어진 2차 요인모형을 국내 성인근로자를 대상으로 타당도를 가진 그릿 측정도구로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increase the use of grit measurement in the HRD field, we conducted a factor analysis of existing grit scale for employees in Korea. An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grit scale were performed to te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hereby deriving implication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we used 1,254 employees’ grit response in Korea. The collected data was used for analysis by randomly assigning samples via SPSS.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after preliminary data analysis such as mean, standard deviation, normality, and reliability. In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wo factors were derived, except for one of the eight existing items that did not meet the factor loading criteria. Nex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the goodness fit of the modified measurement and confirmed that all items were loaded on each factor. Finally, through model comparison, a model consisting of 7 items from 2 factors was derived as a valid measure for adult employees in Korea.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Enhancing Learners’ Convergence Competency through VR Design-Based STEAM Education
- In-Context Learning을 통한 서·논술형 평가에서의 대형 언어 모델과 교사 간 채점 및 피드백 정합성 향상 방안
-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Beliefs about Intelligence, Goal Orientation, and Cognitive Task Engagement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