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夫婦財産約定登記에 關한 考察
이용수 9
- 영문명
- Examination of Matrimonial Property Agreement Registration
- 발행기관
- 한국민사법학회
- 저자명
- 하승완(Ha, Seung-Wan)
- 간행물 정보
- 『민사법학』제46호, 597~639쪽, 전체 4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9.30
7,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roperty registry by agreement between the couple, which is one of the means to determine property between a couple in Korean civil law, has not been actively considered yet although it can work as a very effective system according to its management. One of the reasons is that how to announce publicly has not been properly established. As the agreement on the property of the couple has opposing power when it is registered, the registry for public announcement is very important, but it is insignificantly considered as a secondary procedure of the property agreement. So it is suggested that it should have a legislative and institutional measure. When the couple property agreement system is considered in terms of the law of contract, the agreement has the same effect as a real estate contract, and the agreement registry should be managed independently though it has an inseparable relation with the property agreement system. And the property registry uses or follows the theory and laws of the real estate law, but as the real estate registry is different from the property agreement registry in its subject, object, jurisdiction and effect, the property agreement registry should be approached differently from the property agreem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ystem on the couple property agreement registry and develop effective measures including the legislative theory to establish it as an independent system instead of a secondary system of the property agreement system.
목차
Ⅰ. 序論
Ⅱ. 現行法上 夫婦財産約定登記制度
Ⅲ. 夫婦財産約定登記制度의 改善方案
Ⅳ. 結 論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금융실명제하에서의 예금주의 확정
- 법률행위능력과 의사능력제도에 대한 비판적 검토
- 時效 및 除斥期間 관련 개정논의 예상 主要論點과 立法例
- ‘저당권에 기한 방해배제청구’(민법 제370조에 의한 제214조의 준용)의 입법적 구체화 검토
- 보증의 유형화
- 집합건물 관리비 채권채무의 당사자와 관리비채무의 승계
- 夫婦財産約定登記에 關한 考察
- 의사의 과실에 의한 임신·출산·출생에 따른 손해배상책임
- 보증계약상 채권자의 정보제공의무
- 자녀의 이익을 위한 가사사건 절차상 대리인제도
- 전자거래규정의 민법에의 편입
- 독일민법 제84조와 우리 민법 제48조 제2항의 비교법적 고찰
- 채권자취소권의 실체법상의 성질에 대한 고찰
- 독일의 건축공사 대금채권담보에 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Management Review Vol.20 No.1 Contents
- Is Modernization of Public Transport in The Philippines A Boon or A Bane for The Filipino People?
- Toward a Framework for IT Utilization in Organizations: A Literature Review from the Perspective of Organizational Theor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