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입직 동기와 취업준비활동에 관한 조사 연구

이용수  194

영문명
A Study on Job Motivation and Job Preparation Activities of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Teachers
발행기관
한국직업교육학회
저자명
김민정(Min-Jeong Kim) 이영민(Young-Min Lee)
간행물 정보
『직업교육연구』제40권 제3호, 25~4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직업훈련시장의 질적 제고를 위해 훈련교사의 입직 동기 및 취업준비활동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최적의 입직 경로를 수립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분석 자료는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자격을 취득하여 민간직업훈련기관 직업훈련에 참여하고 있는 훈련교사의 설문조사 자료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훈련교사 입직 동기는 전공 및 경력을 지속하기 위한 것이 가장 많았고, 훈련교사에 대한 정보 수집은 직업훈련 참여를 통해 이루어진 경우가 많았다. 훈련교사가 되기 위해 관련 교육훈련에 참여하는 준비활동이 있었지만, 입직당시 훈련교사 자격 취득률은 절반이 채 되지 않았다. 주된 구직경로는 구인·구직 공고와 훈련기관 방문이었고, 구직활동에서 어려웠던 점은 수입과 보수에 대한 불만족과 정보 부족이었다.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자격 취득은 실제 업무에 도움이 되었다고 인식하였다. 훈련교사 선발에서 가장 중요하게 반영되어야 하는 능력은 강의전달능력이었다. 훈련교사 취업 준비는 연령, 최종학력, 지역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훈련교사의 질적 제고를 위해 체계적인 입직 준비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vocational training market, this study seeks to find a way to establish an optimal employment path by specifically grasping the employment motives and job preparation of training teachers. As the research analysis data, the response data of training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vocational training at private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by acquiring the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teacher qualification were used. 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motivation for employment was to save majors and careers, and information on training teachers was collected through participation as existing vocational training trainees. Preparatory actions were taken to participate in education and training to become a training teacher, but less than half of them obtained training teacher qualifications. As for the job search for training teachers, there were many cases of job posting announcements and direct visits to training institutions, and the difficulty in finding a job was dissatisfaction with income and compensation and lack of information. They responded that obtaining the qualification as a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eacher was helpful in the actual work, and in particular, lectures (professor-learning) were the most helpful.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 direction for systematic employment preparation was suggeste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raining teachers in the future.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민정(Min-Jeong Kim),이영민(Young-Min Lee). (2021).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입직 동기와 취업준비활동에 관한 조사 연구. 직업교육연구, 40 (3), 25-47

MLA

김민정(Min-Jeong Kim),이영민(Young-Min Lee).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입직 동기와 취업준비활동에 관한 조사 연구." 직업교육연구, 40.3(2021): 25-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