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기경련치료에 대한 환자의 만족도 조사
이용수 88
- 영문명
- Satisfaction Survey of Patients Toward Electroconvulsive Therapy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주은정(Eun-Jeong Joo) 김희철(Hee Cheol Kim) 정성훈(Seong Hoon Jeong) 박승현(Seung Hyun Park) 이남영(Nam Young Lee)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60권 제2호, 135~142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5.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전기경련치료에 대한 환자의 인식과 태도를 파악하고자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많은 환자들이 전기경련치료에 대한 만족도 및 부작용, 태도, 경험 등에서 대체로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 응답자 중에서 반수 이상이 전기경련치료 동안에 기억장애를 경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경련치료의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예측 요인을 확인하지는 못하였으나 전기경련치료 동안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부작용들과 기억장애에 대한 예방, 조기 발견과 신속한 처치가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후속 연구에서 대상자 수의 확대와 다양한 변인들을 탐색함으로써 전기경련치료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예측 요인들을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satisfaction of patients who had undergone electroconvulsive therapy to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social misunderstanding about electroconvulsive therapy,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reatment, and make a decision of effective treatment.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satisfaction, adverse effects, attitudes, and experiences toward electroconvulsive therapy in patients at 2 to 4 weeks after finishing an acute course of electroconvulsive therapy in three psychiatric hospitals. Results There were 85 respondents (38 males), whose average age was 42.0±13.6 years and average illness duration was 12.8±8.9 years. Fifty-two patients (61.2%), 19 (22.4%), 8 (9.4%), and 6 (7.1%) were diagnosed with schizophrenia, major depressive disorder, bipolar disorder, and other mental disorders, respectively. The average session number for acute electroconvulsive therapy was 12.6±6.0 sessions, and 61 patients (71.8%) had received maintenance electroconvulsive therapy. Among the respondents, 60.0% reported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electroconvulsive therapy. Satisfaction was similar according to sex, age, diagnosis, electrode placement, and use of anesthetic agents. Forty-three (53.8%) patients experienced memory impairment during acute electroconvulsive therapy.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patients who received electroconvulsive therapy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treatment and that memory impairment should be detected early and managed promptly. Follow-up studies with a large number of subjects and variables will be needed to determine the predictive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toward electroconvulsive therapy.
목차
서 론
방 법
결 과
고 찰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