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클라이언트 중심 상상훈련이 노인 뇌졸중 환자의 작업수행도 및 만족도, 우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94
- 영문명
- Effects of Client-centered Mental Practice on Stroke Elderly Patients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and Depression, Quality of Life
- 발행기관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정진호(Jeong, Jin-Ho) 신원미(Shin, Won-Mi) 양영애(Yang, Yeong-Ae)
- 간행물 정보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5권 제1호, 65~74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5.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클라이언트 중심 접근방법을 적용하여 상상훈련을 중재함으로써 노인 뇌졸중 환자의 작업수행도 및 만족도, 우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21년 2월 15일부터 3월 12일까지 뇌졸중으로 진단받은 만65세 이상 입원 노인환자 10명을 대상으로 4주간 주 3회 총 12회기 동안 회기 당 30분씩 클라이언트 중심 상상훈련을 실시하였다.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중재 전⋅후 캐나다 작업수행 측정(COPM), 한국어판 Beck-II 우울척도(BDI-II), 노인 삶의 질 척도(GQOL) 평가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 클라이언트 중심 상상훈련을 적용한 결과, 작업수행도와 만족도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p<.05), 집단 간 중재 후를 비교한 결과 작업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우울의 변화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집단 간 중재 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삶의 질 변화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집단 간 중재 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결론 : 클라이언트 중심 상상훈련이 노인 뇌졸중 환자의 작업수행도 및 만족도와 우울과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향후 노인 뇌졸중 환자를 위한 중재 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n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stroke patients by mental practice by applying a client-centered approach.
Methods : From February 15 to March 12, 2021, client–centered mental practice were conducted to 10 hospitalized patients over 65 years of age diagnosed with a stroke in three times a week for 30 minutes, a total of 12 sessions.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the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MP), Korean version of Beck Depression Inventory-Ⅱ(BDI-Ⅱ), and the Geriatric Quality of Life(GQOL)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the practice.
Results : As a result of applying client-centered mental practi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work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p<.05), and as a result of comparing after intervention between group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ork satisfaction (p<.01).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depression changes (p<.05),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intervention between groups (p<.05). All of the quality of life chang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05),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fter intergroup interventions (p<.05).
Conclusion : Client-centered mental practice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the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of elderly stroke patients, reducing their depression, and improving quality of their life. This training is expected to be available in the future for elderly stroke patien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노인의 사회물리적 환경과 인지장애에 관한 연구
-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Dementia Attitude and Dementia Knowledge According to the Level of Dementia Educ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 지역사회 노인의 낙상유무에 따른 낙상효능감과 사회참여도의 비교
- 국내 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한 그룹치료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여성 노인의 우울과 체형인식, 신체활동, 식습관 및 구강건강의 관계
- 클라이언트 중심 상상훈련이 노인 뇌졸중 환자의 작업수행도 및 만족도, 우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자기관리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환자의 자기 효능감, 삶의 질,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 작업치료사의 치매안심센터 조기검진팀 사업 참여 당위성에 대한 연구
-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치매관리비용 및 치매안심센터 기능변화 연구
- 주간보호센터 이용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인지치료 프로그램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