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현병 클라이언트의 시간사용과 작업참여에 관한 연구
이용수 879
- 영문명
- A Study on the Time Use and Occuupational Participation of the Schizophrenia
- 발행기관
-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백다래(Baek, Da-Rae)박명옥(Park, Myoung-Ok)
- 간행물 정보
-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지』제8권 제1호, 25~33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재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5.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조현병 클라이언트를 대상으로 시간 사용과 작업 균형의 상태를 알아보고, 작업수행과 참여의 관계를 사례를 통해 알아봄으로서, 작업참여에 대한 중재를 마련할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연구는 2020년 9월 1일부터 주 1회 40분씩 10주간 일대일로 클라이언트가 방문하는 사설센터에서 진행하였으며, 작업설문지(Occupational Questionnaire; OQ)와 통계청에서 시행한 2019년 생활시간조사표를 활용하여 시간사용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캐나다 작업수행 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을 사용하여 작업수행도와 만족도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클라이언트중심 작업치료중재를 실시하였다. 결과 : 클라이언트의 하루 일과 시간 사용은 개인유지가 48.3%, 일 29.2%, 가정관리와 가족 및 가구원 돌보기가 각각 8.3%였으며, 클라이언트 중심 작업치료 중재 후 COPM의 통한 수행도와 만족도가 향상되었다. 결론 : 조현병 클라이언트의 시간사용과 작업균형에 대하여 더 면밀히 파악하고, 작업적 목표에 기반한 참여형 중재가 조현병 클라이언트에게 적극적으로 활용되기 위하여 더욱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영문 초록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Son Il-Hyun Center for Children and Youth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ivision of Health Science, Baekseok University, Associate Professor Objectives :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preparing interventions for occupational participation by examining the degree of time use and occupational balance for the schizophrenic client, and by grasping the work performance and participation level. Methods : The study was conducted at a private center visited by clients one-on-one for 10 weeks for 40 minutes once a week from September 1, 2020. Analyzed for use. In addition, data on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were collected using the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 and based on this, a client-centered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was conducted. Results : As for the client s daily work and time use, personal retention was 48.3%, daily 29.2%, and family management and family and household member care were 8.3%, respectively, and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through COPM improved after client-centered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Conclusion : It is thought that mo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in order to more closely grasp the time use and work balance of schizophrenia clients, and to actively utilize participatory interventions based on work goals for schizophrenia cli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재활의학분야 BEST
- 중증정신질환자가 이용하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인지행동치료가 조현병 환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조현병 환자에게 적용한 그룹인지재활프로그램이 인지기능과 작업적 참여에 미치는 효과
의약학 > 재활의학분야 NEW
- Effect of Neck Stabilization Exercise with Reverse Plank Exercise on Neck Alignment and Muscle Function in University Students with Forward Head Posture
- Comparison of sternocleidomastoid (SCM) muscle thickness in college students with forward and normal posture: an ultrasound cross-sectional study
- The effect of shoulder muscle exercise therapy on functional level, grip strength and pain in patients with lateral elbow tendinopath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