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도장애인의 고용서비스 개선 방안을 위한 델파이 조사 연구
이용수 277
- 영문명
- Delphi Research for Improving Employment Services for People with Acquired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직업재활학회
- 저자명
- 박다원(Park, Da Won) 김원호(Kim, Won Ho)
- 간행물 정보
- 『직업재활연구』제31권 제1호, 71~9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4.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도장애인을 위한 고용서비스 및 정책의 방향을 탐색하며,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도장애인 당사자 및 학계 현장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였다. 델파이 조사를 통해 중도장애인을 위한 고용서비스 방향의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도장애인을 기존의 장애범주 및 기준으로 정리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둘째, 중도장애인의 다학제적 접근이 부족하여 통합적인 서비스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중도장애인의 심리사회적 재활은 회복기에 진행되는것이 효과적이다. 넷째, 중도장애인의 고용서비스는 이전의 직업, 직업력을 회복하여 복귀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섯째, 중도장애인의 장애관리 방안은 고용 전 단계에서 중도장애인의 특성 및 의사가 반영된 체계적인 재활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employment services and policies for people with Acquired disabilities, and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To this end, a study on Delphi for people with Acquired disabilities was conducted. The expert panel was composed of people with Acquired disabilities and academic experts. The Delphi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to October 2020, and was conducted four times. The following are ways to improve the direction of employment services for people with Acquired disabilities through the Delphi survey. First, it is difficult to organize people with Acquired disabilities into the existing disability categories and standards. Second, the lack of multidisciplinary access for people with Acquired disabilities requires integrated service support. Third, it is effective that psychosocial rehabilitation of people with Acquired disabilities proceeds in the recovery period. Fourth, it is important to restore employment services for people with Acquired disabilities by recovering their previous job and vocational skills. Fifth, the disability
management plan for people with Acquired disabilities needs to establish a systematic rehabilitation plan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and intentions of people with Acquired disabilities at the pre-employment stag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역사회기반 장애인 일자리 사업에 관한 탐색적 연구: 충청북도 ‘상생 일자리 사업’을 중심으로
- 산재근로자의 지역별 위험도 관리를 위한 산재 취약지수 개발
- 산업재해로 신체 장애인이 된 근로자의 산업재해와 직업재활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발달장애인용 직업흥미검사 웹 기반 시스템 개발
- 비경제활동 발달장애 인구의 특성 및 경제활동상태와 취업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성인 발달장애인 가족의 가족지원 서비스 이용현황 및 개선 방안
- 장애인 노동시장의 불안정성 수준에 미치는 영향: 코로나19로 인한 직장 내 변화를 중심으로
- 중도장애인의 고용서비스 개선 방안을 위한 델파이 조사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경비지도사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기계경비시스템 효율적 활용 방안 연구 : 민간경비 분야 효율성 증대를 중심으로
- 산업기술 유출 의도의 심리적 예측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 TCI 기질과 합리적 선택 이론의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