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심리학의 군사적 활용성 증대방안
이용수 77
- 영문명
- The Plan for Enhancing the Applicability of Psychology in Military
- 발행기관
-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 저자명
- 김용주(Yongju Kim) 신재훈(jaeHun Shin) 강성록(Sungrok Kang)
- 간행물 정보
- 『미래사회』제6권 제1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1.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심리학적 지식을 군사 분야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 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최근 군과 관련된 군사심리학적 이슈를 살 펴본 후, 미군과 독일군 등 외국군의 군사심리 활동을 알아보았다. 즉 미군의 경 후에는 미 육군 행동 및 사회과학 연구소와 해군연구국에서 , 독일 연방군의 경 우에는 독일연방군 국방심리국, 내적 지휘센터, 독일연방군 사회과학 연구소에 서 다양한 군 관련 임무와 연구를 수행하고 있었다. 이러한 내용을 바당으로, 한 국군에 적용 가능한 군사심리학적 영역을 7가지로 정리하였다. 간부 선발 및 배 치, 심리적 부적응자 식별, 심리적 부적응자 관리 및 치유, 군상담 프로그램 및 상담 인력의 전문성 강화, 병영문화 개선을 위한 심리적 활동 지원, 파병 관련 심리적 문제 관리, 그리고 군내 사건사고에 대한 심리프로파일 지원, 마지막으로 한국 심리학이 획기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하여 군사심리 학회의 설립, 군사심리연구소의 설치와 더불어 민간 심리 전문가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의견 제안을 강조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lan for utilizing the knowledge of psychology effectively in area of militar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e recent psychological issues related to military were considered and the psychological activities in military of foreign countries such as US and Germany were studied. In regard to the psychological activities in US Army and German Federal Army, various missions and studies were being performed in US Army Research Institute for the Behavioral & Social Sciences and Office of Naval Research and in German Federal Army Psychology Institute of National Defence, Internal Command Center, and German Federal Army Institute for Social Science, respectively. Based on the psychological activities above, the seven military psychological area swhich can be applicable in Korea Army were determined: selection and placement of officers, identification of psychologically maladjusted soldiers, management and treatment of psychologically maladjusted soldiers, enhancement of expertise for counselors and counseling programs, support of psychological activity to ameliorate the military culture, management of psychological problems for dispatch troops, and support of psychological profile in case of accidents in military. Lastly, it was emphasized to establish the military psychology association along with military psychology institute and to have more interest and opinions of professional psychologists in civil area,
목차
Ⅰ. 서론
Ⅱ. 군사심리학적 이슈
Ⅲ. 외국군의 군사심리 활동
Ⅳ. 한국군에서의 심리학적 소요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경비지도사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기계경비시스템 효율적 활용 방안 연구 : 민간경비 분야 효율성 증대를 중심으로
- 산업기술 유출 의도의 심리적 예측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 TCI 기질과 합리적 선택 이론의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